![]()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숙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청년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한다.
시는 지난 24일 청춘곳간에서 ‘2025년 청년 숙의예산 발표회’를 열고 청년이 제안한 정책 14건을 최종 선정했다.
최종 제안된 사업은 ▲청년 웰니스 프로그램 ▲광명형 청년 신체건강 회복 플랫폼 ▲고립 청년 대상 프로그램 ▲광명 AI 크리에이터 육성지원 사업 ▲이음청년 ▲청년 멘토·멘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해 총 14개다.
이날 발표회는 청년이 정책을 직접 제안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청년 숙의예산 토론회’의 마지막 단계로, 참가자들은 지난 3월부터 시정 방향, 정책과 조례 개념, 입법기관의 역할 등 관련 교육을 받고 의제를 발굴한 뒤 정책 제안서 작성을 완료했다.
발표회에서는 청년들이 팀을 이뤄 총 14개의 정책 사업을 제안했다. 발표자료와 함께 제안 배경, 정책 대상, 기대 효과 등을 설명하며 청년의 시각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사전 협의를 거쳐 관계부서의 검토 결과도 함께 공유했으며, 청년들은 실현 가능성, 창의성 등의 기준에 따라 직접 평가를 진행해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발표에 참여한 한 청년은 “내가 제안한 아이디어가 실제 정책 제안서로 발전하고 부서 검토까지 이뤄져 신기했다”며 “청년의 의견도 행정에 반영될 수 있다는 값진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청년 스스로 제안하고 토론하며 정책을 만드는 이 과정이 바로 민주주의의 건강한 실천”이라며 “청년의 목소리가 시정에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is reflecting the voices of youth in city administration to realize deliberative democracy.
On the 24th, the city held the ‘2025 Youth Deliberative Budget Presentation’ at the Youth Center and finally selected 14 policies proposed by youth.
The final proposed projects include ▲Youth Wellness Program ▲Gwangmyeong-type Youth Physical Health Recovery Platform ▲Isolated Youth Target Program ▲Gwangmyeong AI Creator Development Support Project ▲Ieum Youth ▲Youth Mentor/Mentee Program, etc., for a total of 14 projects.
The presentation on this day is the final stage of the ‘Youth Deliberative Budget Discussion’ where youth directly propose policies and decide on priorities. Since March, participants have received education on city administration direction, policy and ordinance concepts, and the role of legislative bodies, discovered agendas, and completed writing policy proposals.
At the presentation, youths formed teams and proposed a total of 14 policy projects. Along with the presentation materials, the background of the proposal, policy targets, and expected effects were explained, and the problem was diagnosed and a solution was presented from the youth’s perspective.
After prior consultation, the results of the review by the relevant departments were also shared, and the youth directly evaluated the project based on criteria such as feasibility and creativity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project.
On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presentation said, “It was amazing that the idea I proposed was developed into an actual policy proposal and even went through department review,” and “It was a valuable experience that the opinions of youth can be reflected in the administration.”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This process in which youth propose, discuss, and create policies is a healthy practice of democracy,” and “We will continue to communicate and support so that the voices of youth can be reflected more in the city administratio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