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광명시, 집중 호우 대비 대규모 건설현장 안전점검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6/19 [09:32]

광명시, 집중 호우 대비 대규모 건설현장 안전점검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6/19 [09:32]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박승원 광명시장이 “대규모 공사 현장은 집중 호우 시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사전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19일 오후 시청 대회의실에서 박 시장 주재로 ‘대규모 건설 현장 중심 여름철 우기 대비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본격적인 장마 시작을 앞두고 사고 발생이 예측되는 대규모 건설 현장 중심으로 선제적 점검에 나선 것이다.

 

이날 회의에는 관내 대규모 공사 현장 관리 부서와 공사 현장소장, 시공사 감리단장 등 관내 대규모 공사 현장 관계자 등 총 50여 명이 참석했다.

 

각 공사장 관계자가 현장별 침수 및 토사 유출 우려 구간에 대한 조치사항, 비상 상황 대응계획, 비상용 수해방지 자재·장비 확보 현황 등 여름철 집중호우 대응책을 직접 설명하고, 시 관계자들은 재난 대응 상황을 꼼꼼하게 점검했다,

 

현재 광명시에는 ▲광명제1·4·5·9·11·12R구역,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 사업지구 등 재개발 현장 ▲철산주공10·11단지 재건축 현장 ▲신안산선 지하터널, 월곶~판교 복선전철, 광명서울 고속도로 등 지하철·고속도로 공사 현장 ▲목감천 하천정비사업 현장 등 20여 개소의 대규모 공사 현장이 있다.

 

박 시장은 공사 현장 관계자들에게 “빈틈없는 현장관리와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해달라”고 당부하며, 관련 부서장들에게는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에 두고 재난 예방과 대응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광명시는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수립해 사전 예방과 현장 중심으로 자연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종합대책을 7대 분야로 나눠 분야별 사전 점검과 예방 조치를 지난 12일 완료했으며, 재난 상황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Mayor Park Seung-won of Gwangmyeong City emphasized,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can lead to large-scale disasters in the event of heavy rain, so thorough advance preparation is most important,” and “We will thoroughly prepare to prevent predictable risks.”

 

On the afternoon of the 19th, Gwangmyeong City held a ‘Large-scale Construction Site-centered Summer Rainy Season Countermeasure Meeting’ presided over by Mayor Park in the city hall conference room. Ahead of the start of the full-scale rainy season, the city has begun preemptive inspections centered on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accidents are expected to occur.

 

Approximately 50 people attended the meeting, including the management department of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in the city, construction site managers, construction company supervision team leaders, and other officials at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in the city.

 

Each construction site official explained the measures to respond to heavy summer rain, such as measures for areas at risk of flooding and soil runoff, emergency response plans, and the status of securing emergency flood prevention materials and equipment, and city officials thoroughly inspected the disaster response situation.

 

Currently, Gwangmyeong City has approximately 20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including ▲Gwangmyeong Je 1·4·5·9·11·12R districts, Gwangmyeong Siheung Techno Valley development project area, ▲Cheolsan Public Housing Complex 10·11 reconstruction site, ▲Subway and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such as the Shin Ansan Line underground tunnel, Wolgot~Pangyo double-track electric railway, and Gwangmyeong Seoul Expressway, ▲Mokgamcheon river restoration project site, etc.

 

Mayor Park urged construction site officials to “establish a thorough on-site management and rapid response system,” and ordered the heads of relevant departments to “put the safety and lives of citizens first and do your best until the end to prevent and respond to disasters.”

 

Meanwhile, Gwangmyeong City has established a ‘2025 Summer Natural Disaster Comprehensive Plan’ to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through advance prevention and on-site response. The comprehensive plan was divided into seven major areas, and advance inspec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each area were completed on the 12th, an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respond quick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