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는 19일 하안동에 위치한 광명문화원 리모델링 공사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사업비 76억 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2천733㎡ 규모로 진행됐으며, 기존(연면적 2천339㎡) 대비 약 16.8%의 면적이 증축됐다. 내부 정비를 마치고 오는 9월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광명문화원은 1995년 개원 이후, 2005년 하안동 청사로 이전하며 전통문화 계승, 문화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지역문화 활동을 이어 왔다. 하지만 시설 노후화로 인한 누수, 단열 미비, 외부 진출입로 안전 문제 등으로 이용에 불편이 있었고, 시민 문화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공간의 기능적 재구성이 필요성이 제기돼 리모델링을 추진했다.
이번 리모델링의 핵심은 시민을 위한 공간 확충이다. 특히 활용도가 낮았던 기존 야외공간을 실내 소통 공간으로 바꿔, 시민들이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 문화 활동과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건물 1층 입구로 들어서면 2층까지 시원하게 트인 통창을 통해 철망산의 풍경이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통창 아래로는 로비와 1층부터 2층까지 계단식으로 연결된 개방 공간인 ‘문화마루’가 있다. 이곳에는 테이블과 의자, 1인용 소파 등이 배치돼 시민들이 자유롭게 머무르고 소통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시민 행사의 무대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1층 중앙 계단을 타고 2층으로 올라가면 시민들이 머무를 수 있는 휴게 라운지가 마련됐다.
시민 소통 공간 외에도 다양한 문화공간을 설치·보강했다.
1층에는 소규모 작품 전시가 가능한 문화갤러리와 다양한 문화 강좌가 열릴 강의실 2곳이 조성됐다. 기존에 있던 공연장의 조명·음향 장비를 보강하고, 좌석과 빔프로젝터를 새로 교체하는 등 시설을 개선해 쾌적한 공연 관람이 가능하다.
2층에는 광명역사관이 오는 9월 개관을 앞두고 전시 준비 중이다. 역사관은 열린 수장고, 전시실, 영상실 등으로 구성되며, 민회빈 강씨, 오리 이원익, 경산 정원용 등 지역 역사 인물과 시민이 기증한 생활 유물들을 전시해 광명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지하 1층에는 공연연습실과 기계실, 전기실이 들어섰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많은 시민이 새롭게 탈바꿈한 광명문화원에서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하고, 서로 소통하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시민의 삶과 호흡하는 열린 문화공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The Gwangmyeong Cultural Center Haean-dong building has been reborn as a space for local cultural communication with citizens.
On the 19th, the city held a completion ceremony for the remodeling of the Gwangmyeong Cultural Center located in Haean-dong.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with a budget of 7.6 billion won, with 1 underground floor, 2 above-ground floors, and a total floor area of 2,733㎡, and the area h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6.8% compared to the existing area (total floor area of 2,339㎡). It is scheduled to be fully operational starting in September after completing internal maintenance.
Since its opening in 1995, the Gwangmyeong Cultural Center has continued various local cultural activities such as inheriting traditional culture and operating cultural education programs since moving to the Haean-dong building in 2005. However, due to aging facilities, there were inconveniences in use due to water leaks, insufficient insulation, and safety issues with external entrances and exits, and as citizens’ cultural needs diversified, the need for functional reorganization of the space was raised, so the remodeling was promoted.
The core of this remodeling is to expand the space f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existing outdoor space, which was underused, was changed into an indoor communication space so that citizens can enjoy daily cultural activities and relaxation regardless of the weather.
When you enter the building through the entrance on the first floor, you can see the scenery of Cheolmangsan Mountain at a glance through the large windows that open up to the second floor. Below the large windows is the lobby and the ‘Culture Maru’, an open space connected in steps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floor. Tables, chairs, and single-person sofas are placed here so that citizens can freely stay and communicate.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stage for various citizen events in the future.
If you go up the central stairs on the first floor to the second floor, you will find a rest lounge where citizens can stay.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space for citizens, various cultural spaces have been installed and reinforced.
On the first floor, there is a cultural gallery where small-scale art exhibitions can be held and two lecture rooms where various cultural classes can be held. The existing performance hall’s lighting and sound equipment has been reinforced, and the seats and beam projectors have been replaced to improve the facilities, allowing for a more pleasant viewing experience.
On the second floor, the Gwangmyeong History Museum is preparing for an exhibition ahead of its opening in September. The history museum consists of an open storage, exhibition hall, and video room, and will be decorated as a space that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of Gwangmyeong by exhibiting local historical figures such as Min Hoe-bin Kang, Ori Lee Won-ik, and Gyeongsan Jeong Won-yong, as well as everyday artifacts donated by citizens.
The basement level houses a performance practice room, a machine room, and an electrical room.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I hope that many citizens will enjoy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enjoy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t the newly transformed Gwangmyeong Cultural Center.”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expand the open cultural space that breathes with the lives of citizens and cultural programs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