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는 일직동 499번지 일원 기형도문화공원 부지에 총사업비 약 200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1천700㎡ 규모의 시립미술관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착공은 2027년, 개관은 2028년 하반기 목표이다.
이번 사업은 지역 예술생태계를 뒷받침할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광명시는 미술관이 전무한 실정이다. 문체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평균은 인구 18만 명당 미술관 1개소로, 시는 문화 격차 해소와 시민의 문화접근성 확대를 위해 미술관 건립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광명시립미술관은 전시 공간을 넘어, 예술 향유와 창작, 소통이 융합된 시민 참여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480㎡ 규모의 전시실을 비롯해 세미나실, 수장고, 야외 조각공원 등이 마련된다.
미술관 정면에는 내·외부에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미디어파사드 휴게공간을 설치한다. 미디어파사드는 투명 유리창에 영상과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기술을 접목한 설비이다.
전시 콘텐츠 연출과 공공정보 제공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 미술관의 개방성과 예술성, 기능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건축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는 지역 예술인과 시민이 함께하는 전시·창작 인프라를 구축해 공립미술관과 창작공간의 부재를 해소하고, 청년 작가·예술단체·지역 커뮤니티가 협력하는 ‘지역예술인 연계 활성화’도 도모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기형도문화공원, 오리역사문화공원 등 인근 문화시설과 연계한 문화벨트도 조성해 시민의 문화 향유권을 넓혀갈 계획이다.
아울러 광명시립미술관은 에너지 고효율 설비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적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로 조성해, 친환경 공공건축의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립미술관은 예술과 일상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시민 중심 문화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시민의 문화적 자부심과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기반 시설로서, 시민 누구나 예술을 향유하고 창조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 1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명시립미술관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마쳤으며,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8월 경기도 투자심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할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is starting to build a municipal art museum in earnest to expand its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The city announced on the 17th that it plans to invest a total project cost of approximately 20 billion won to build a municipal art museum with a total floor area of 1,700㎡ on the site of the Gihyeongdo Cultural Park at 499 Iljik-dong. Construction is scheduled to begin in 2027, and the opening is targeted for the second half of 2028.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build core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local art ecosystem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enjoy culture.
Currently, Gwangmyeong City has no art museum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of 2023, the national average is 1 art museum per 180,000 people, and the city believes that building an art museum is urgent to resolve the cultural gap and expand citizens' access to culture.
The Gwangmyeong City Art Museum will be built as a citizen-participatory complex cultural space that combines art appreciation, crea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exhibition space. It will include a 480㎡ exhibition hall, a seminar room, a storage facility, and an outdoor sculpture park.
A media façade rest area will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useum where visitors can enjoy artwork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media façade is a facility that uses technology to project video and images onto transparent glass windows.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rchitectural element that symbolically demonstrates the openness, artistry, and functionality of the museum, as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directing exhibition content and providing publ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ity plans to build an exhibition and creation infrastructure where local artists and citizens can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absence of public art museums and creation spaces, and to promote ‘local artist linkage activation’ where young artists, art groups, and local communities collaborate.
In addition, it plans to create a cultural belt linked to nearby cultural facilities such as Gihyeongdo Cultural Park and Ori History and Culture Park to expand citizens’ right to enjoy culture.
In addition, the Gwangmyeong City Museum of Art is expected to become a model case of eco-friendly public architecture by being built as a ‘zero-energy building’ that applies energy-efficient facilities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The Gwangmyeong City Museum of Art will become a citizen-centered cultural platform where art and daily life naturally blend together,” and “As a key infrastructure facility that enhances citizens’ cultural pride and urban competitiveness, we will create an open space where all citizens can enjoy and create art.”
Meanwhile, Gwangmyeong City completed the final report meeting for the ‘Gwangmyeong City Museum of Art Feasibility Study and Basic Plan Establishment Service’ at the City Hall conference room on the 12th, and plans to submit the data necessary for the Gyeonggi Province investment review in Augu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ervic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