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는 올해 하반기까지 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산모실과 신생아실, 프로그램실 등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간다. 착공과 함께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운영자를 선정해, 내년 하반기에는 시범 운영을 거쳐 12월 정식 개원할 예정이다.
평택시 공공산후조리원은 누구나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민간 못지않은 수준 높은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엄마와 아기 모두가 편안하게 머물 수 있도록 설계 단계부터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 산후조리 현장의 비법을 공간 구성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정 시장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이 혼자만의 부담이 되지 않도록, 공공이 함께 돕겠다”라며, “공공산후조리원이 엄마와 아기 모두에게 따뜻한 기억으로 남을 수 있도록 꼼꼼하게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시범 운영 및 개원 일정 등 자세한 내용은 향후 평택시 공식 채널을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출산 친화 도시를 향한 평택시의 이번 시도가 성공적인 공공 돌봄 모델로 정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Pyeongtaek Reporter Lee Hyeon-jun] Pyeongtaek City announced on the 11th that it completed the purchase of a building in Songdam-ri, Anjung-eup and began full-scale remodeling design for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The city aims to reduce the project budget by remodeling the existing building and to bring forward the opening date to provide childbirth welfare services quickly.
The city plans to complete the design by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begin remodeling construction of the maternity room, newborn room, and program room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Along with the groundbreaking, it plans to select an operator with expertise and experience, conduct a pilot operation in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and officially open in December.
Pyeongtaek City's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aims to provide facilities and services that are as high-quality as private ones while being safe for anyone to use. It plans to actively reflect the secrets of postpartum care sites in the space composition by forming an advisory group of private experts from the design stage so that both mothers and babies can stay comfortably.
Mayor Jeong said, “The public sector will help so that giving birth and raising a child is not a burden to be shouldered alone,” and “We will thoroughly prepare so that the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can be a warm memory for both mothers and babies.” Details such as the pilot operation and opening schedule will be announced through Pyeongtaek City’s official channels in the future. Attention is focused on whether Pyeongtaek City’s attempt to become a childbirth-friendly city can be established as a successful public care model.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평택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