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는 지난 12일 시장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광명형 민생정책의 실효성과 지속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한 체계적 분석에 돌입했다.
이번 사업은 민생안정지원금의 단순 지급을 넘어 시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를 분석해 향후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울러 유사 정책의 설계 방향까지 내다보는 정밀한 정책기획 과정으로, 광명시가 선제적으로 구축해 온 민생경제 대응 모델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상반기, 광명시는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씩 지역화폐를 지급했고 광명시민의 93%인 약 26만여 명이 신청해 사용률은 약 98.9%에 달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고물가·고금리 속에서 침체된 지역경제에 숨을 불어넣고, 실질적인 소비 진작과 상권 회복을 이끌어냈다”며 “선제적으로 추진된 민생안정 정책과 중앙정부 정책의 정합성을 강화하고 정책 간 연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으로 새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민생경제 회복’과의 연결고리를 공고히 해 지역발 정책이 중앙정부의 방향성과 맞물려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전략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사업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자문단이 ▲지역산업연관분석 및 이중차분(DID) 분석을 통한 재정·소비 효과 정량 검증 ▲광명시민·소상공인 대상 체감도와 만족도 조사 ▲정책 수혜 구조 및 소비 패턴 분석 등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합적 정책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시민 체감 중심의 정책을 입증하고, 효과성 있는 정책 로드맵을 구축해 광명형 민생모델을 국가 단위 우수사례로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국정철학과 보폭을 맞춘 전략적 대응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오는 7월 중간보고회와 9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연구 결과를 공개하고, 향후 유사 정책 추진의 타당성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주요 정책자료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is scientifically verifying the multiplier effect of the People’s Livelihood Stabilization Support Fund and is in step with the new government’s national task of ‘People’s Livelihood Economy Recovery.’
On the 12th, the city held a commencement report meeting for the ‘People’s Livelihood Stabilization Support Fund Effect Analysis Research Service’ at the mayor’s office and began systematic analys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Gwangmyeong-type people’s livelihoo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eople’s Livelihood Stabilization Support Fund on citizens’ lives and the local economy beyond simple payment, and to derive future development pla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further enhance the comple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Economy Response Model that Gwangmyeong City has proactively established as a precise policy planning process that foresees the design direction of similar polici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Gwangmyeong City paid out 100,000 won in local currency to each citizen, and about 260,000 people, or 93% of Gwangmyeong citizens, applied, resulting in a usage rate of about 98.9%.
Gwangmyeong Mayor Park Seung-won said, “The livelihood stabilization support fund has breathed life into the local economy, which has been stagnant amid high prices and high interest rates, and has led to actual consumption stimulation and recovery of commercial districts.” He added, “It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nsistency of the preemptively promoted livelihood stabilization policy and central government policy and increasing the linkage between policies.”
According to the city, the plan is to solidify the link with the new government’s key national task of ‘restoring the livelihood economy,’ and establish a strategic foundation so that local policies can synergize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direction.
The project will be conducted by experts and advisory groups from various fields, including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fiscal and consumption effects through regional industry linkage analysis and double difference (DID) analysis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Gwangmyeong citizens and small business owners ▲analysis of policy beneficiary structure and consumption patterns, etc., and will conduct a comprehensive policy evaluation based on scientific data.
Mayor Park said, “We plan to prove policies centered on citizen perception and establish an effective policy roadmap to develop the Gwangmyeong-type livelihood model into a national best practice,” and “We will focus on strategic responses that are in line with the national philosophy and pace.”
Meanwhile, Gwangmyeong City plans to disclos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an interim report meeting in July and a final report meeting in September, and actively utilize them as key policy data to gauge the feasibility and direction of similar policies in the futur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