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경기도, 이천시 ‘호법주미지구 지하수 함양사업’ 추진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6/13 [09:42]

경기도, 이천시 ‘호법주미지구 지하수 함양사업’ 추진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6/13 [09:42]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현준기자]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지하수 함양사업에 경기도 이천시 호법주미지구 지하수 함양사업이 선정됐다. 이에 따라 국비와 지방비 총 65억 원을 투입해 (국비 70%, 지방비 30%) 2026년 세부설계를 거쳐 2028년말까지 공사를 할 예정이다.

 

지하수 함양사업은 빗물이나 하천수 등 지표의 물을 땅속으로 침투시켜 지하수층을 인위적으로 보충하는 시설을 말한다. 이렇게 되면 작물재배 및 난방에 필요한 지하수 공급에도 문제가 없게 된다.

 

사업대상지는 이천시 호법면 주미리, 송갈리, 단월동 일원으로, 전체 농경지 166ha 중 약 83ha(1,158개소)가 시설하우스로 조성돼 있다.

 

현재 이 지역은 하루 약 2만8,600㎥의 농업용수가 필요하나, 실제 공급은 1만2,600㎥ 수준에 불과해 물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겨울철 수막난방에 필요한 용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않아 작물 생육에 차질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수막난방은 주로 비닐하우스나 온실에서 사용하는 보온 방법으로 지하수나 온수를 비닐하우스의 외피(지붕이나 벽면)에 분사해 얇은 물막(수막)을 형성해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함양수로 1.5㎞ ▲함양관정 10공 등 함양원수 확보시설을 구축하고, ▲송수관로 10.3㎞ ▲세사저감장치 12개소 ▲수위조절장치 200개소 등 공급체계를 함께 갖출 계획이다.

 

사업 완료 시 시설농업지역의 만성적인 지하수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안정적인 영농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수막재배에 필요한 지하수를 충분히 공급하면 화석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한 영농비용(경영비)도 절감되며, 수막 난방에 사용된 물이 버려지지 않고 지하수 함양에 재사용돼 물 자립도 기대할 수 있다.

 

정인웅 경기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이번 지하수 함양사업으로 시설 농가의 어려움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Reporter Lee Hyeon-jun] The groundwater recharge project in Hobeop Jumi District, Icheon-si, Gyeonggi-do, has been selected for the groundwater recharge project promo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ccordingly, a total of 6.5 billion won in national and local funds (70% national and 30% local) will be invested to conduct detailed design in 2026 and complete construction by the end of 2028.

 

Groundwater recharge projects refer to facilities that artificially replenish groundwater layers by infiltrating surface water such as rainwater or river water into the ground. This will eliminate problems with the supply of groundwater necessary for crop cultivation and heating.

 

The project site is Jumi-ri, Songgal-ri, and Danwol-dong in Hobeop-myeon, Icheon-si, and about 83ha (1,158 locations) of the total 166ha of farmland have been developed into facility greenhouses.

 

Currently, this area needs about 28,600㎥ of agricultural water per day, but the actual supply is only about 12,600㎥, so there is a water shortage. In particular, there is concern that crop growth will be affected because the water needed for water curtain heating in winter is not supplied stably. Water curtain heating is a method of insulation mainly used in vinyl houses or greenhouses. It is a technology that sprays groundwater or hot water on the exterior of the vinyl house (roof or wall) to form a thin water film (water curtain)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Through this project, ▲ 1.5㎞ of water supply channels ▲ 10 water supply wells, etc. will be built to secure water from the same area, and ▲ 10.3㎞ of water supply pipelines ▲ 12 fine sand reduction devices ▲ 200 water level control devices will be installed to establish a supply system.

 

When the project is completed, it is expected to solve the chronic groundwater shortage problem in facility agricultural areas and greatly contribute to creating a stable farming environment.

 

In addition, if the groundwater required for hydroponic cultivation is sufficiently supplied, the cost of farming (management costs) will be reduced by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and water used for hydroponic heating will not be wasted but reused for groundwater recharge, so water independence can be expected.

 

Jeong In-woong, head of the Gyeonggi-do Eco-friendly Agriculture Division, said, “I hope that this groundwater recharge project will alleviate the difficulties of facility farms to some exten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