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초등학생들의 ‘읽는 힘’을 키워주기 위해 ‘독서능력진단검사’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능력진단검사를 실시해 개별 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형 독서 지도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올해 검사 대상을 지난해보다 약 4배 늘려 총 600명에게 검사를 제공한다. 최근 디지털 매체의 사용 증가로 초등학생 독해력과 학습 능력 저하 문제가 사회적으로 꾸준히 제기되면서 올해 독서능력진단검사 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또한 지난해에는 학생 개별 신청 방식이었으나, 올해는 초등학교를 통해 신청을 받아 검사 결과에 따라 학교 차원에서 학생별 맞춤형 독서 지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개선했다.
진단검사는 교육부 민간자격등록기관인 한국독서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관찰력, 집중력, 판독력, 읽기속도 등을 진단하는 ‘준비단계’ ▲어휘력, 요약하기, 분석·비판적 사고 등을 진단하는 ‘독해단계’ ▲상상력, 추리력, 문제해결력 등을 진단하는 ‘감상단계’ 등 3개 영역으로 진행된다. 객관식과 주관식, 서술형이 혼합된 방식으로 40분간 이루어진다.
검사 결과는 학생 개인별 보고서와 학교 전체 보고서로 나누어 제공된다. 개인별 보고서에는 응시 학생의 독서 능력을 전국 동일 학령(연령) 2만 명 이상의 학생들과 비교·분석한 영역별 데이터가 제시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독서 지도 방향도 함께 안내된다. 학부모들은 한국독서교육개발원 누리집이나 전화를 통해 유선 상담을 받을 수도 있다.
학교 전체 보고서에는 응시 학생들의 능력 분포 현황, 독서 지도 방향이 포함돼 있어 학교 차원의 교육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읽는 힘은 모든 배움의 기초이자 평생학습의 출발점”이라며 “이번 지원이 학생들이 스스로 읽고, 이해하고,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고, 나아가 독서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7개 초등학교가 검사를 신청했으며, 각 학교 일정에 따라 6월 중순부터 7월까지 검사를 완료하면 한국독서교육개발원에 진단을 의뢰해 8월 중 개별결과를 학교에 통보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announced on the 11th that it will expand the ‘Reading Ability Diagnostic Test’ project to enhance the ‘reading pow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onduct a reading ability diagnostic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ity and provide customized reading guidance based on the individual diagnostic results.
This year, the number of test subjects has increased by about 4 times compared to last year, and the test will be provided to a total of 600 people. The city explained that the reading ability diagnostic test support project was significantly expanded this year as the iss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ability deterioration has been raised socially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while last year was an individual student application method, this year, applications were accepted through elementary schools, and improvements were made so that customized reading guidance for each student can be provided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diagnostic test is a program developed by the Korea Reading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 private qualification registration agen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conducted in three areas: ▲Preparation stage that diagnoses observation, concentratio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speed, ▲Reading stage that diagnoses vocabulary, summarizing, analysis, and critical thinking, and ▲Appreciation stage that diagnoses imagination,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conducted for 40 minutes in a mixed format of multiple-choice, subjective, and descriptive questions.
The test results are provided in individual student reports and school-wide reports. The individual reports provide data by area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reading ability of the test taker with that of over 20,000 students of the same school age nationwide, and provide customized reading guidance directions based on this. Parents can also receive online counseling through the Korea Reading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ebsite or by phone.
The school-wide report includes the distribution of test taker abilities and reading guidance directions, which can be used to establish school-level educational strategies.
Park Seung-won, the mayor of Gwangmyeong City, said, “The power of reading is the foundation of all learning and the starting point of lifelong learning,” and added, “I hope that this support will help students develop the power to read, understand, and think on their own, and further strengthen reading education.” Meanwhile, seven elementary schools have applied for testing this year, and after completing the testing from mid-June to July according to each school’s schedule, they will request a diagnosis from the Korea Reading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notify the schools of the individual results in Augus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