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광명 이현준기자] 광명시가 재정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시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는다.
시는 10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박승원 시장을 비롯해 관련 부서장 등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안사업의 반영률을 높이기 위한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 부서 검토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주민참여예산제는 시민이 직접 제안한 사업을 시가 검토해 예산에 반영하는 제도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총 133건이 실제 예산에 반영됐다.
올해는 지난 2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한 제안사업 공모에서 총 230건의 제안을 접수했으며, 이 중에는 지난해 원탁토론회에서 제안된 고령화·저출생 대응 정책 48건도 포함된다.
시는 230건의 제안을 대상으로 시민컨설턴트단의 컨설팅을 거쳐 유사·중복 제안을 조정한 결과, 최종 제안사업 213건을 검토했다.
검토 대상 사업들은 숙의와 시민투표를 거쳐 오는 9월 500인 원탁토론회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후 2026년 예산 편성 과정에 반영할 방침이다.
박 시장은 “주민참여예산은 단순한 제안을 넘어 시민이 시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를 행정에 반영해 실현 가능한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제안된 사업은 생활환경 개선 57건, 복지와 학습 지원 50건, 지역경제와 문화 활성화 41건, 도시 안전과 기반시설 정비 41건, 아동·청소년 성장 지원 13건 등 시민 삶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특히 생활환경 개선 분야가 2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공원·산책로 등 일상 공간 정비와 안전한 보행환경 마련, 쓰레기 무단투기 등 환경문제에 시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 가운데 각 부서의 검토를 거친 주요 제안 사업을 살펴보면, 생활환경 개선 분야에서는 ▲구름산 둘레길 테마숲 조성 ▲도덕산 정상 안내 지도 정비 ▲어린이공원·공원 시설 보수 등이 대표적이다.
문화·경제 활성화 분야에서는 ▲예술인 시화거리 조성 ▲전통시장 셔틀버스 운영 ▲신중년 전기기술자 양성 프로그램 ▲전통음식 교육 등도 반영 검토 대상에 포함된다.
주민 복지와 학습 지원을 위한 제안으로는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틈새돌봄 플랫폼’ 구축 ▲특성화고 학생 대상 취업역량 프로그램 운영 등이 있다.
도시 안전 분야에서는 ▲자전거길과 인도길 분리 ▲버스정류장 도로 보수 ▲미끄럼 방지 및 거리표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등이 제시됐다.
한편, 광명시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와 시민컨설트단 운영, 시민과 위원을 대상으로 한 주민참여예산 교육 등을 실시하며 주민참여 예산 기반을 체계적으로 다져가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Gwangmyeong Reporter Lee Hyeon-jun] Gwangmyeong City is incorporating citizens' voices into policies to realize fiscal democracy.
On the afternoon of the 10th, the city held a '2026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Project Department Review Results Report Meeting' in the city hall conference room with 30 people including Mayor Park Seung-won and related department heads in attendance to increase the reflection rate of proposed projects.
The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city reviews projects directly proposed by citizens and reflects them in the budget. A total of 133 cases were actually reflected in the budget from 2021 to 2024.
This year, a total of 230 proposals were received in the proposal project contest held from February 24 to April 30, including 48 policies to respond to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proposed at the roundtable discussion last year.
The city reviewed 213 final proposals after consulting with the Citizens’ Consulting Group and adjusting similar and overlapping proposals for 230 proposals.
The projects under review will undergo deliberation and citizen voting, and the priorities will be determined at a roundtable discussion with 500 people in September. The plans are to reflect them in the 2026 budget preparation process.
Mayor Park said, “The participatory budget is a process in which citizens create city administration together, beyond simple proposals,” and added, “We will actively seek feasible measures by reflecting the voices of each and every citizen in the administration.”
The proposed projects cover various areas closely related to citizens’ lives, including 57 projects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50 projects for welfare and learning support, 41 project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culture, 41 projects for urban safety and infrastructure maintenance, and 13 projects for supporting the growth of children and youth.
In particular, the area of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t 26%, which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citizens’ continuous interest and demand for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improving everyday spaces such as parks and walking paths, establish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and preventing illegal dumping of trash.
Among these, the major proposed projects that have been reviewed by each department include ▲creating a theme forest around Gureumsan Mountain ▲improving the Dodoksan summit guide map ▲repairing children’s parks and park facilities in the area of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area of cultural and economic revitalization, ▲creating a street for artists ▲operating shuttle buses for traditional markets ▲training programs for middle-aged electrical engineers ▲traditional food education, etc. are also included in the review.
Proposals for supporting resident welfare and learning include ▲establishing a ‘niche care platform’ that can respond to emergencies ▲operating an employment capacity progra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tc.
In the area of urban safety, ▲separating bicycle paths and sidewalks ▲repairing bus stop roads ▲anti-slip and distance markings ▲installing diagonal crosswalks, etc. were suggested.
Meanwhile, Gwangmyeong City is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ing by operating a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and a citizen consulting group, and conducting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education for citizens and committee member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명시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