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현준기자]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29일과 30일 화성시 백미리와 안산시 선감도 해안에 염생식물을 심는 ‘블루카본 생태계 복원 사업’을 추진한다.
염생식물은 바닷가 등의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뿌리 주변 퇴적층에 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바다나 연안 생태계를 통해 흡수·저장되는 탄소를 ‘블루카본(Blue Carbon)’이라고 한다.
연구소는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화성, 안산 2개 시 연안에 염생식물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채, 갯질경, 갯개미취, 큰비쑥, 천일사초, 해홍나물, 칠면초, 퉁퉁마디 등 8종 모두 도에서 자생하는 종이다.
총 12,000주에 대한 식재와 3kg 파종은 지역 주민, 해양생물 전문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생육환경 개선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도 함께 추진된다. 연구소는 향후 염생식물의 탄소 흡수량 측정, 해양생태계 영향 분석 을 통해 체계적인 과학 기반 기후 대응 모델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성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염생식물 조성은 단순한 식생 복원에 그치지 않고, 해양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블루카본 생태계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해양생태계 회복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실질적이고 과학적인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Reporter Lee Hyeon-jun] The Gyeonggi-do Marine and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will promote the ‘Blue Carbon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 to plant halophytes on the coasts of Baekmi-ri, Hwaseong-si and Seongam-do, Ansan-si on the 29th and 30th.
Halophytes are plants that grow in salty soils such as seaside areas, and they absorb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and store carbon in the sedimentary layer around their roots. Carbon absorbed and stored through the ocean or coastal ecosystems in this way is called ‘Blue Carbon.’
The research institute plans to create halophytes on the coasts of Hwaseong and Ansan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achieve carbon neutrality. All eight species, including Jichae, Gaetjilgyeong, Gaetgaemichu, Great Artemisia princeps, Cheonilsacho, Haehongnamul, Chilmyeoncho, and Tongtungmadi, are native to the province.
The planting of a total of 12,000 trees and the sowing of 3 kg seeds will be carried out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residents, marine life experts, etc.
Continuous aftercare such as improving the growing environment to increase the settlement rate will also be promoted. The institute plans to establish a systematic science-based climate response model through measuring the carbon absorption of halophytes and analyzing their impact on the marine ecosystem in the future.
Kim Seong-gon, the director of the Gyeonggi-do Marine and Fisheries Resources Institute, said, “The creation of halophytes is not simply a matter of restoring vegetation, bu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 blue carbon ecosystem as a marine carbon sink,” adding, “We will continue to expand practical and scientific projects to restore the marine ecosystem and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