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천시, 전국최초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이천시립기록원’ 공식 출범

오경희 기자 | 기사입력 2025/05/16 [15:01]

이천시, 전국최초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이천시립기록원’ 공식 출범

오경희 기자 | 입력 : 2025/05/16 [15:01]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이천 오경희기자] 이천시소재 ‘이천시립기록원’이 16일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경기도 최초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인 이천시립기록원은 전국에서 10번째 영구기록물관리기관(아카이브, Archives)이자, 기존의 이천시기록관이 공식 승격한 것으로 이천시가 23년 만에 기록관리체계의 대전환을 이뤄냈다.

 

아카이브는 아직 국내에는 생소한 개념일 수 있으나, 선진국에서는 아카이브, 박물관, 도서관이 3대 문화기관으로 자리매김하며 오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아카이브를 설치하여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수백 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기록·보존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 경쟁력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반면, 국내는 아직 기록문화 제도의 정착이 미흡해 지역 고유의 기억과 문화가 사라지는 안타까운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천시립기록원은 이천시의 공공기록물뿐 아니라 산하 공공기관의 기록물, 시민의 삶과 마을의 과거를 담은 민간·마을기록물까지 통합적 기록관리체계를 구축해 ‘이천기록유산’의 전략적 수집·보존·활용을 주도하게 된다. 단순한 보존을 넘어, 온·오프라인 전시·출판 등의 서비스 제공으로 시민이 함께 체감하는 ‘기록문화복지’ 실현이 목표다.

 

이천시기록관은 그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승격을 목표로, 선제적이고 전문적인 기록관리 기반을 꾸준히 다져왔다. ▲2015년 영구기록물 탈산처리, ▲2017년 마을기록인단 운영 및 웹기록물 수집, ▲2019년 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 구축, ▲2020년 웹아카이빙시스템 구축 및 기록관 누리집 개설, ▲2021년 「이천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 ▲2022년 기록관 별관 개관 및 산하 공공기관 기록관리 지도·감독, ▲2023년 민간기록물 수집·기증 및 전시회 개최, ▲2024년 「이천시 제1차 기록관 종합계획(2024-2028)」 수립 등 단계별로 역량을 축적해왔다.

 

이러한 준비 끝에, 기록보존시설 및 장비, 영구기록관리시스템을 완비하고, 「이천시 기록물 조례」 전부개정을 통해 법적 기반도 마련함으로써 ‘이천시립기록원’으로의 공식 승격과 함께 통합형 기록관리체계의 초석을 다지게 되었다.

 

앞으로 이천시는 이천시립기록원을 중심으로 시민의 삶과 지역 정체성이 반영된 기록을 적극 발굴·기록하고, 전시·교육·콘텐츠화 사업을 통해 ‘기록을 통한 시민참여’와 ‘기억의 민주화’를 실현하는 선진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번 승격을 시작으로, 향후 전국 기초지자체 기록관리 정책을 선도하는 ‘기록문화도시’로서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방침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Reporter Oh Kyung-hee from Icheon] The Icheon City Archives will begin its full-fledged activities on the 16th.

 

The Icheon City Archives, the first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in Gyeonggi Province, is the 10th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archives) in the country, and the existing Icheon City Archives has been officially promoted, which means Icheon City has achieved a major transformation in its records management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23 years.

 

Archives may still be an unfamiliar concept in Korea, but in advanced countries, archives, museums, and librarie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the three major cultural institutions, continuing a long tradition. In particular,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archives to systematically record and preserve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ir regions for hundreds of years, which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urban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Korea is still lack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records culture system, and there are frequent unfortunate cases of unique regional memories and cultures disappearing.

 

The Icheon City Archives will establish an integrate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not only the public records of Icheon City, but also the records of it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and village records containing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 past of the village, and will take the lead in strategic colle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Icheon Record Heritage.’ Beyond simple preservation, the goal is to realize ‘record culture welfare’ that citizens can experience together by providing services such as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The Icheon City Archives has steadily laid the foundation for preemptive and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with the goal of being promoted to a local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2015 permanent record deacidification, ▲2017 village record team operation and web record collection, ▲2019 digital archive system construction, ▲2020 web archiving system construction and opening of archives website, ▲2021 enactment of the “Icheon City Public Records Management Ordinance,” ▲2022 opening of the archives annex and management guidance and supervision of records of subordinate public institutions, ▲2023 collection, donation and exhibition of private records, ▲2024 establishment of the “Icheon City 1st Comprehensive Records Plan (2024-2028).”

 

After these preparations, the foundation for an integrated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laid along with the official promotion to “Icheon City Archives” by completing the records preserv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ing the legal foundation through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Icheon City Records Ordinance.”

 

In the future, Icheon City plans to actively discover and record records that reflect the lives of citizens and regional identity centered on the Icheon City Archives, and build an advanced model that realizes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records’ and ‘democratization of memory’ through exhibition, education, and content creation projects.

 

Starting with this promotion, the city plans to further solidify its position as a ‘record culture city’ that leads the records management policy of basic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in the future.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천시#이천시립기록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