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노동권 보호와 권리 의식 강화를 위해 도는 지난 2월 도내 고등학교와 청소년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해 노동 참여 비중이 높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교육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을 통해 선발된 노동인권 강사 167명이 맡는다. 도는 지난 3월 강사 선발 후 온라인 사전교육을 했으며, 현장 교육의 통일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표준 교안 3종을 활용해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 내용은 청소년이 알아야 할 기본적인 아르바이트 상식, 임금체불이나 부당해고 등 피해 상황에 대한 대처법, 실제 사례 소개 등으로 구성된다. 도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7월부터 10월까지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모니터링과 강사 평가를 병행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Oh Kyung-hee] Gyeonggi Province will operate a total of 500 ‘On-site Labor Rights Education’ sessions from May to October.
In order to protect the labor rights of youth and strengthen their awareness of their rights, the province conducted a demand survey targeting high schools and youth-related organizations in the province in February and selected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ith high labor participation rates and youth outside of school as priority support targets.
The education will be provided by 167 labor rights instructors selected through the Gyeonggi Provinc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After selecting the instructors in March, the province conducted online pre-education,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of on-site education, it plans to conduct education using three standard textbooks, just like last year.
The education content consists of basic part-time job common sense that youth should know, how to deal with situations of damage such as nonpayment of wages or unfair dismissal, and introduction of real cas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province plans to monitor the status of education operation and evaluate instructors from July to October.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