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오경희기자] 경기도가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 1개소를 추가 공모한다고 18일 밝혔다.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은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농촌지역 폐교 등을 활용한, 취약계층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로 농산물을 생산하면서 체험학습, 교육, 캠핑장, 동물농장 등 수익을 다각화할 수 있어 지역 일자리 창출과 잉여이익의 지역환원을 통한 농촌공동체 회복 등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회혁신형 스마트팜 구축 사업’의 하나인 이번 공모는 지속가능한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농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 및 인구 유입 촉진에 기여하고자 추진된다.
도는 지난달 공모를 통해 2곳을 선정했으며 이번 추가 공모로 1곳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신청 대상은 경기도 내 지자체(산하기관 포함), 사회적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농업인(농업법인 포함) 등이며, 이들 간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공동 참여도 가능하다. 특히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이 주체가 되어 스마트팜을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농업의 사회적 역할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되는 주요 항목은 ▲재배환경 구축 시설비 ▲작물 생산용 시설 및 장비 ▲설계 및 컨설팅 비용 등 스마트팜 구축비뿐만 아니라 ▲공동 작업장 및 저장고 ▲교육·체험 및 커뮤니티 공간 ▲가공·판매시설 등 스마트팜 운영에 필요한 부속시설비까지 포함된다. 이밖에도 스마트팜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부대시설 구축과 운영을 지원함으로써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신청 기한은 5월 13일까지로, 신청을 희망하는 기관·단체는 경기도 누리집에서 공고문을 확인한 뒤, 신청서와 사업계획서, 증빙서류를 해당 사업지 관할 시군에 제출하면 된다. 이후 경기도에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청 친환경농업과 원예특작팀으로 문의바란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Oh Kyung-hee] Gyeonggi Province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ill hold an additional public offering for a smart farm for a rural area.
A smart farm for a rural area is a model that creates jobs for the vulnerable by establishing a smart farm and utilizing closed schools in rural area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way to create local jobs and restore rural communities through the return of surplus profits to the region, as it can diversify profits while producing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education, camping sites, and animal farms.
This public offering, which is one of the ‘social innovation smart farm construction projects,’ is being promoted to establish a sustainable agricultural foundation and contribute to the economic vitalization and population inflow of rural areas.
The province selected two sites through a public offering last month and plans to select one more site through this additional public offering. Applicants includ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affiliated organizations), social cooperatives, social enterprises, and farmers (including agricultural corporations) in Gyeonggi Province, and joint participation is also possible through the formation of a consortium among them. In particular, we plan to support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s to operate smart farms, thereby strengthening ties with local communities and realizing the social role of agriculture.
The main items supported include ▲Facility costs for establishing a cultivation environ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crop production ▲Design and consulting costs, etc., as well as auxiliary facilities necessary for operating smart farms, such as ▲Communal workshops and storage ▲Education, experience, and community spaces ▲Processing and sales facilities. In addition, we plan to create an innovative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 by support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related to smart farm operation.
The application deadline is May 13. Organizations and groups wishing to apply should check the announcement on the Gyeonggi-do website and submit the application form, business plan, and supporting documents to the city or county in charge of the relevant business site. Gyeonggi-do will then conduct an expert review and make the final selection.
For further details, please contact the Gyeonggi-do Office’s Eco-friendly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Specialties Team.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