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평택시, 공공부문 도시개발사업 추진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5/03/07 [13:27]

평택시, 공공부문 도시개발사업 추진

이현준기자 | 입력 : 2025/03/07 [13:27]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평택 이현준기자] 평택시가 7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100만 특례시’ 기틀 마련과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난개발 방지를 위해 추진 중인 공공 도시개발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가칭 원평․신궁지구 도시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공 주도 도시개발사업 중 실시계획인가가 완료된 서부지역 만호지구와 개발계획수립이 완료된 북부지역 가곡지구에 대해 원활한 사업추진으로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고 추진 현황을 설명했다.

 

특히, 신규로 추진 예정인 가칭 원평·신궁지구 도시개발사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평택역 주변 지역 개발을 통해 원도심의 기능을 되찾고 지역의 명소로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가칭 원평·신궁지구는 원평동 61만 9천㎡(약 19만 평)와 신궁리 33만 7천㎡(약 10만 평)를 포함해 총 95만 6천㎡(약 29만 평) 규모의 대상지를 환지방식의 공공개발로 추진할 예정이며,

 

2024년 지방행정연구원(리맥)으로부터 타당성 조사를 완료해, 올해 상반기에는 지방재정(자체)투자심사 의뢰를, 하반기에는 사업시행자 지정 동의서를 청구할 계획이다.

 

개발 방향으로는, 시민들과 평택역 이용객이 자동차 간섭을 받지 않고 노을생태문화공원까지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걷고 싶은 거리’를 조성하고,

 

군문교 확장 및 촬영 구역(포토존), 야간조명 등 경관개선을 통해 노을 명소로 조성할 예정이며, 안성천변 자연하천과 조화되는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하천 변에 충분한 수변공간으로 휴식 및 테마 거리를 조성하겠다고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평택시는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환경에 발맞춰 도시의 양적성장을 뛰어넘어 시민들께 쾌적한 삶의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질적 성장에 목표를 두고, 신도시와 구도심 간의 불균형 해소 및 상호 보완적인 도시체계 구축을 통해 보다 나은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평택시는 100만 특례시 기틀에 한 발짝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Pyeongtaek Reporter Lee Hyeon-jun] Pyeongtaek City explained the public urban development project currently underwa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1 million special city’ and prevent overdevelopment through planned and systematic development through a press briefing on the 7th, and announced that it would newly promote the so-called Wonpyeong-Shingung District Urban Development Project.

 

Among the public-led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 western region’s Manho District, where the implementation plan approval was completed, and the northern region’s Gagok District, where the development plan was completed, expla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saying that they would seek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through smooth project promotion.

 

In particular, regarding the newly scheduled so-called Wonpyeong-Shingung District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y expressed their ambition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develop it into a local attraction by developing the relatively underdeveloped area around Pyeongtaek Station.

 

The tentatively named Wonpyeong-Shingung District will be developed as a public development using the method of land conversion, with a total area of ​​956,000㎡ (approximately 290,000 pyeong), including 619,000㎡ (approximately 190,000 pyeong) in Wonpyeong-dong and 337,000㎡ (approximately 100,000 pyeong) in Shingung-ri.

 

A feasibility study will be comple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 Research Institute (RIMAC) in 2024, and a request for a local financial (self-) investment review will be made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nd a consent form for designation of a project implementer will be requested in the second half.

 

In terms of development direction, a ‘walkable street’ will be created so that citizens and Pyeongtaek Station users can comfortably walk to Noeul Ecological Culture Park without interference from cars,

 

and it will be developed into a sunset spot through landscape improvements such as expansion of Gunmun Bridge and photo zones and night lighting. In order to create an urban environment that is in harmony with the natural stream along Anseongcheon, it was proposed to create a resting and theme street with sufficient waterside space along the stream.

 

Lastly, Pyeongtaek City stated that it will do its best to become a better city by going beyond quantitative growth of the city and providing citizens with a comfortable living spac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urban environment, and by resolving the imbalance between new and old cities and establishing a mutually complementary urban system.

 

Through this, Pyeongtaek City is expected to take a step closer to becoming a special city with a population of 1 million.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