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경기도, ‘경기도 라이즈(RISE) 계획’ 최종확정

오경희 기자 | 기사입력 2025/01/05 [17:22]

경기도, ‘경기도 라이즈(RISE) 계획’ 최종확정

오경희 기자 | 입력 : 2025/01/05 [17:22]

▲ 경기도 라이즈(RISE) 사업설명회(24년12월19일)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오경희기자] 경기도가 추진한 ‘경기도 라이즈(RISE) 계획’이 경기도RISE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김동연표 대학 종합지원인 ‘경기도 라이즈(RISE) 계획’은 미래성장산업 선도인재 3만 명 양성, 산학협력 공동연구 750건 수행, 미래성장산업 새싹기업 100개사 육성 등의 내용을 담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이다.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4대 프로젝트, 16개 단위 과제로 구성됐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 비전은 ‘지산학 협력으로 동반성장하는 글로벌 혁신 수도, 경기도’로 설정했다.

 

주요 내용은 ▲경기 G7 미래성장산업 육성 ▲경기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생애-이음형 평생직업교육 혁신 ▲지산학 상생·협력 동반성장 실현으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매년 약 992억 원씩, 5년간 총 4,960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매년 반도체·AI빅데이터·첨단모빌리티·바이오·신재생에너지·양자·디지털전환 등 경기도 7대 미래성장산업(G7) 선도인재 6천 명, 지역산업 실무인재 5천 명 등 5년간 5만 5천 명을 집중 양성한다.

 

또한 기업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학-기업 공동연구도 150건씩 5년간 750건을 수행할 계획이다. 대학을 혁신기술의 창업기지로 해 미래성장산업(G7) 스타트업 20개사씩 100개 육성하고, 지역 수요 맞춤 전문인력 200명씩 1천 명과 재직자 400명씩 2천 명 교육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의 지속적인 경력개발과 재직자 배움 수요를 충족시킬 예정이다.

 

특히, 경기북부 특화산업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특화 과제를 수립하고 이를 발판으로 경기 북부의 성장동력 창출을 통한 남북부 균형발전을 꾀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5년간 초광역 산학연 공동협력 프로그램 25건 발굴·운영을 통해 비수도권 지역과의 산업격차 해소와 상생발전에 공헌하고 대한민국 균형 발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계획 수립을 위해 올해 초부터 5번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또 ‘경기도RISE협의체’를 구성해 여러차례 자문·협의를 실시하고, 4월과 12월에는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대학과 시군, 교육청 등과 적극적인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계획을 지속 수정·보완했다.

 

한편 경기도는 1월 RISE 시행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2월부터 RISE 수행대학 선정을 위한 공모에 들어가 5월까지 최종 선정을 완료하고 상반기 내에 사업수행을 본격화 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Oh Kyung-hee] Gyeonggi Province announced that the ‘Gyeonggi RISE Plan’ promoted by the province has been finalized after deliberation by the Gyeonggi RISE Committee.

 

The ‘Gyeonggi RISE Plan’, a comprehensive support plan for universities led by Kim Dong-yeon of Gyeonggi Province, is a regional innovation-centered university support system (RISE) that fosters 30,000 future growth industry leading talents, conducts 75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joint research projects, and fosters 100 future growth industry start-up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consists of 4 major projects and 16 unit tasks.

 

In addition, the vision for this project was set as ‘Gyeonggi Province, a global innovation capital that grows together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e main contents were selected as ▲Fostering Gyeonggi G7 future growth industries ▲Fostering Gyeonggi regional innovation clusters ▲Innovating lifelong career education that connects life and work ▲Realizing industry-university symbiotic and cooperative growth.

 

Accordingly, Gyeonggi Province will invest approximately KRW 99.2 billion annually from this year to 2029, for a total of KRW 496 billion over five years. Through this, 55,000 people will be intensively trained over five years, including 6,000 leading talents in Gyeonggi Province's seven future growth industries (G7), including semiconductors, AI big data, advanced mobility, bio, renewable energy, quantum, a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5,000 practical talents in regional industries.

 

In addition, a plan is in place to conduct 150 cases of joint research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over five years, for a total of 750 cases. By using universities as a base for innovative technology startups, 100 startups (20 each) in the future growth industries (G7) will be fostered, and 2,000 professional personnel (200 each) tailored to regional demand and 400 employees (20 each) will be trained to meet the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of adult learners and the learning needs of employees.

 

In particular, it plans to establish specialized tasks for specialized industries and industrial structure advancement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to use this as a foundation to create growth engin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by discovering and operating 25 cases of joint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programs in the metropolitan area over the next five years, it will contribute to resolving the industrial gap with non-metropolitan areas and mutual growth, and to contributing to balanced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rovince has gone through five rounds of opinion gathering processes since the beginning of this year to establish the plan. In addition, it has established the ‘Gyeonggi Province RISE Council’ and conducted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several times, and has continuousl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lan based on active communication and consensus-building with universities, cities and counties, and education offices, such as holding briefing sessions in April and December.

 

Meanwhile, Gyeonggi Province began establishing the RISE implementation plan in January, and plans to complete the final selection by May and begin full-scale project implementation with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by starting a public contest for the selection of universities to perform RISE in February.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경기도 라이즈(RISE) 계획’ 최종확정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