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귀선기자] 경기도가 올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도민참여형 숙의공론조사 백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도민참여형 숙의공론조사’는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성을 의제로 한 여론조사와 도내 6개 권역별 토론회와 종합토론회 등 8개월에 걸친 숙의 과정에 연인원 1,541명이 참여한 국내 최대 규모의 숙의 공론조사다.
경기도는 6개월간 숙의 공론조사 결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필요에 대한 동의 비율이 74.2%로 꾸준히 증가했고 주민투표 적극 투표 의향도 85.4%로 높아졌다고 10월 31일 결과보고회에서 밝힌 바 있다.
백서는 숙의 공론조사의 설계부터 결과 보고까지의 전 과정을 상세히 담고 있다. 백서 본문은 ▲ 총론 ▲ 공론화위원회 운영 ▲ 조사 ▲ 숙의와 토론 ▲ 소통 총 5장으로 구성했다. 또한 공론화위원회 회의록, 전문가 세미나 결과, 숙의 공론조사 설문지 및 권역별·종합 토론회 질의응답 등을 부록에 수록했다.
이번 숙의 공론조사는 도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 결정 과정에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민주적 숙의과정을 거쳐 정책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하고 도민의 정책에 대한 이해와 경기도정에 대한 신뢰를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숙의 공론조사의 설계를 맡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공론화위원회 진세혁 위원장은 “그간의 숙의과정에서 도출된 도민들의 소중한 의견이 도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경과와 분석 결과를 백서에 기록했다”며 “백서에 담긴 도민의 의견을 기반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가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본 백서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경기도 시군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Southern = Suwon Reporter Lee Gwi-seon] Gyeonggi Province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has published a white paper for citizen participation type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establishment of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year.
The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th Citizen Participa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November through a deliberation process spanning 8 months, including a public opinion poll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ebates in each of the six regions of the province, and general debates. It is the largest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in Korea with 1,541 participants.
Gyeonggi Province announced at a result report meeting on October 31 that as a result of a six-month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on the need to establish the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teadily increased to 74.2%, and the intention to actively vote in the referendum also increased to 85.4%.
The white paper details the entire process from designing the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to reporting the results. The main body of the white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 general argument, ▲ operation of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 investigation, ▲ deliberation and discussion, and ▲ communication. In addition, minutes of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meetings, expert seminar results, deliberation public opinion survey questionnaires, and questions and answers from regional and general debates are included in the appendix.
This deliberative public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democratic deliberation process in which resident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residents, listening to various voices on policies and improving residents' understanding of policies and trust in Gyeonggi-do government. is being evaluated.
Jin Se-hyuk, chairman of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established by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o was in charge of designing the public deliberation survey, said, “We recorded all progress and analysis results in a white paper so that the valuable opinions of residents derived from the deliberation process so far can be reflected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I hope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rn Gyeonggi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be promoted based on the opinions of residents in the province,” he said.
This white paper will be posted on the Gyeonggi Norther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romotion Agency website and distributed to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