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김정은기자] 경기도가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한 ‘2023 주소정책 홍보 및 자율형 건물번호판 우수사례 공모전’ 6개 분야 중 3개 분야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6월 자체 공모를 거쳐 홍보 우수사례 10건, 자율형 건물번호판 우수사례 4건을 행정안전부 공모에 출품했다.
행정안전부는 17개 시도로부터 6개 분야 총 128건을 접수해 1차 전문가 심사 및 2차 대국민 심사를 통해 분야별 우수사례를 최종 선정했다.
경기도에서는 홍보물 다국어(부천시), 자율형 건물번호판 주거(하남시) 및 비주거(평택시) 등 총 3개 분야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돼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부천시는 도로명주소의 원리와 상세 주소의 개념, 신청 방법 등을 담은 2종의 홍보만화를 4개국 언어로 제작해 외국인 주민의 지역 정착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율형 건물번호판은 건축물 소유자가 직접 제작·설치한 번호판으로, 도로명·건물번호를 포함해 건축주의 입맛에 맞게 건물 외관 및 주변 환경에 잘 어울리는 크기, 재질, 디자인으로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다.
하남시의 자율형 건물번호판(주거)은 ‘하남시 미사강변로354번길 8’로 가족 구성원의 이름을 조합한 건물명에 우주를 형상화한 글씨체로 제작해 건물과 조화가 돋보였다는 평이다.
평택시의 자율형 건물번호판(비주거)은 ‘평택시 이화로 256’으로 도로명주소를 카페명으로 사용해 이용자들이 쉽게 찾아갈 수 있고 조명 효과로 야간에도 가독성이 뛰어나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경기도는 이번에 선정된 우수사례를 주소정보누리집에 공개하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등에 주소정책 홍보 자료로 공유해 활용할 방침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Kim Jong-un, Suwon] Gyeonggi-do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as selected as an excellent case in 3 out of 6 fields of the ‘2023 Address Policy Publicity and Autonomous Building License Plate Best Practice Contest’ hos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ccording to Gyeonggi-do, 10 best cases of public relations and 4 best cases of autonomous building license plates were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rough its own contest last June.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received a total of 128 cases in 6 fields from 17 cities and provinces, and finally selected the best cases in each field through the first expert review and the second public review.
In Gyeonggi-do, it was selected as an excellent case in a total of three areas: multilingual publicity materials (Bucheon-si), autonomous building license plate housing (Hanam-si), and non-residential (Pyeongtaek-si), achieving the best results among 17 provinces nationwide.
The city of Bucheon produced two types of publicity cartoons in four languages, including the principle of road name address, concept of detailed address, and application method, and was evaluated for contributing to the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in the region.
Autonomous building license plates are license plates produced and installed by the owner of the building, and can be freely produced in size, material, and design that suit the taste of the building owner, including the road name and building number, and suit the building's exterior and surrounding environment.
Hanam-si’s autonomous building number plate (residence) is “8, Misagangbyeon-ro 354beon-gil, Hanam-si,” and it is said that the name of the building,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names of family members, was produced in a font that embodies the universe, and the harmony with the building was outstanding.
The autonomous building license plate (non-residential) of Pyeongtaek City is ‘256 Ihwa-ro, Pyeongtaek-si’, and users can easily find it by using the road name address as the cafe name.
Gyeonggi-do plans to disclose the best practices selected this time on the Address Information Nurijip and share them with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nationwide as promotional materials for address policie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김정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