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경기도, 4종 상시 데이터 분석 서비스 구축

김정은기자 | 기사입력 2023/08/17 [07:36]

경기도, 4종 상시 데이터 분석 서비스 구축

김정은기자 | 입력 : 2023/08/17 [07:36]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김정은기자] 경기도가 주거인구, 도민생활과 안전에 밀접한 4종 상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구축한다.

 

경기도에 따르면 유동인구 분석 등을 통해 국공립 어린이집 및 보육취약지역, 소방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우선 보강지역 등 지난 16일 경기도청에서 이런 내용의 ‘2023년 데이터 모델 고도화 사업’ 착수보고회를 갖고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과 방향성을 논의했다.

 

이번 사업은 이미 검증된 분석 모델 활용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국공립 어린이집 및 보육취약지역 분석 ▲아동돌봄센터 입지분석 ▲소방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우선 보강지역 분석 ▲생활인구 상시분석서비스 기능개선 및 고도화 총 4개 상시분석 서비스가 대상이다.

 

먼저 국공립 어린이집 및 보육취약지역 분석은 연령대별 인구추계와 영유아 인구 밀도 현황 등을 통해 보육취약지역을 분석하는 서비스다. 국공립 어린이집 입지 선정에 활용 가능하다.

 

아동돌봄센터 입지분석은 초등 돌봄수요를 예측하고, 가구특성을 고려한 신규돌봄센터 우선 설치 지역을 시각화해 제공할 예정이다.

 

소방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우선 보강지역 분석은 지역별 화재 피해 현황, 출동 현황 데이터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긴급차량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우선신호시스템 보강 필요 지역을 알 수 있다.

 

생활인구 상시분석서비스 기능개선과 고도화는 행정동별, 월별, 연령대별 인구 이동 패턴, 카드 소비 패턴 등 지역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현황 데이터를 시각화해 제공한다.

 

도는 12월까지 데이터분석 모델 고도화 사업을 완료할 계획으로, 데이터 기반 행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수재 경기도 AI빅데이터산업과장은 “이번 사업은 데이터에 기반해 도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정책·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상시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데이터기반 도정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관광 ▲농업가뭄 ▲공공버스 ▲페이퍼컴퍼니 ▲생활인구 ▲지역화폐 ▲야생멧돼지 ▲폐기물 ▲버스안전지수 ▲교통보호구역 ▲부동산모니터링 등 13종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구축해 경기데이터분석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Kim Jong-un, Suwon] Gyeonggi-do builds four types of regular data analysis services closely related to the residential population, residents' lives and safety.

 

According to Gyeonggi-do, on the 16th,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held a launch briefing on the '2023 Data Model Advancement Project' with these contents, such a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vulnerable areas, fire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system priority reinforcement areas through analysis of floating population, etc. We discussed the overall plan and direction for it.

 

This project is to provide user-centered customized administrative services through the use of an already verified analysis model. ▲Analysi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vulnerable areas ▲Analysis of locations for child care centers ▲Analysis of priority areas for reinforcement of fire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system ▲Living population Improving and upgrading regular analysis service functions A total of four regular analysis services are targeted.

 

First, the analysis of public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vulnerable areas is a service that analyzes childcare vulnerable areas through population estimation by age group and the current status of infant population density. It can be used to select a location for a national or public daycare center.

 

The location analysis of child care centers will predict the demand for elementary care and visualize and provide the priority areas for new care centers to be install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Priority reinforcement area analysis of fire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system analyzes fire damage status by region and dispatch status data, etc., and it is possible to know areas in need of priority signal system reinforcement so that emergency vehicles can secure golden time.

 

Functional improvement and advancement of living population regular analysis service visualizes and provides basic status data for preparing regional policies, such as population movement patterns by administrative dong, month, and age group, and card consumption patterns.

 

The province plans to complete the data analysis model advancement project by December, and expects to greatly contribute to data-based administration.

 

Lee Soo-jae, head of the Gyeonggi-do AI Big Data Industry Division, said, “This project is to provide regular analysis services to support policy and decision-making in area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citizens based on data.” I will actively work to prepare it,” he said.

 

Meanwhile, Gyeonggi-do has established 13 types of data analysis services, including ▲Tourism ▲Agricultural Drought ▲Public Bus ▲Paper Company ▲Living Population ▲Local Currency ▲Wild Boar ▲Waste ▲Bus Safety Index ▲Traffic Protection Zone ▲Real Estate Monitoring. are providing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김정은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환경부 폐기물 처리사업 운영실태 우수기관 평가 전국 1위
  •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도민참여형 숙의공론조사’ 백서 발간
  • 경기도, 지방세 체납자 부동산 분양권 일제조사해 23억 원 징수
  • 경기도, 세외수입 체납자 부동산 등기권리 전수조사로 13억 5천만 원 징수
  • 경기도, 전국 최초 젠더폭력 통합대응체계 내년 상반기 가동
  • 경기도 특사경, 건설 공사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집중단속
  • 김동연, 중유럽 거점 폴란드와 교류 물꼬 텄다…돌노실롱스키에주와 우호협력 협약
  • 경기도, 34개 체납 건설법인의 공제조합 출자증권 압류
  • 용인~광주 민자도로 적격성 조사 통과. 비용 대비 편익(B/C) 1.28로 분석
  • 경기도 부동산 거짓신고 특별조사 한다
  •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올해 유해게시물 2천157건 신고
  • 경기도, 맛도 좋고 크기도 큰 3배체 개체굴 품종 시험양식 순항 중
  • 김동연, 이·통장에 “도정의 성패 달려. 도와 주민 연결 적극 역할 당부”
  • 경기도, 가택수색 20억 원 징수
  • 경기도, ‘주소정책 홍보 우수사례 공모전’ 6개 분야 중 3개 분야 우수 수상
  • 한국도자재단, 곤지암도자공원 참나무 아래 만개한 황금빛 ‘황화 코스모스’ 보러오세요!
  • 경기도, 과학관·박물관과 찾아가는 체험교실 추진…초‧중등학생 540명 지원
  • 경기도, 4종 상시 데이터 분석 서비스 구축
  • 경기도, 9월 13일 킨텍스에서 샤넬·롤렉스 등 체납자 압류동산 770여점 공매
  •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할 ‘희망 보듬이’ 1만명 모집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