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할 ‘희망 보듬이’ 1만명 모집

이귀선기자 | 기사입력 2023/08/14 [08:18]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할 ‘희망 보듬이’ 1만명 모집

이귀선기자 | 입력 : 2023/08/14 [08:18]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귀선기자] 경기도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제보할 ‘경기도 희망 보듬이’ 1만 명을 연말까지 상시 모집한다.

 

‘경기도 희망 보듬이’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도민을 찾아 긴급복지 핫라인, 긴급복지 콜센터(120-0), 경기복G톡(카카오톡 채널), 긴급복지 콜센터 누리집에 제보하는 역할을 한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역주민들과 접촉이 잦은 통장 등 이웃 중심의 ‘명예 사회복지공무원’과 달리 경기도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희망 보듬이는 복지 단체 종사자, 공공기관, 긴급복지 신고의무자, 생활업종 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촘촘한 민관 협력망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일반 도민도 참여할 수 있다. 도는 희망 보듬이를 올해 1만 명에서 2025년 5만 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신청과 함께 바로 제보에 참여하고, 도에서 위촉해 2년 단위로 연임 제한 없이 활동하게 되며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이 제공될 예정이다.

 

도는 희망 보듬이가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을 통해 제보한 어려운 이웃에게 기초생활보장·차상위계층·긴급복지를 비롯한 기존 복지제도에 해당하면 생계·주거·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복지제도 급여를 받지 못하더라도 위기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필요시 민간 후원 복지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다.

 

참여 희망자는 온라인 경기민원24, 전자우편, 우편(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경기도청 복지사업과), 방문 접수 등으로 신청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문의 사항은 경기도 복지사업과 희망복지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경기도 복지국장은 “경기도에서 관계기관·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공조직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이웃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라며 “위기 이웃을 발견하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으로 제보하는 ‘경기도 희망 보듬이’에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Gwi Seon Suwon] Gyeonggi-do is always recruiting 10,000 ‘Gyeonggi-do Hopeful Bodeum’ to inform neighbors in the blind spot of welfare by the end of the year.

 

‘Gyeonggi-do Hope Bodeumyi’ finds residents in the welfare blind spot and reports them to the emergency welfare hotline, emergency welfare call center (120-0), Gyeonggibok G-Talk (KakaoTalk channel), and emergency welfare call center website.

 

According to Gyeonggi-do, unlike neighborhood-oriented 'honorary social welfare officials' such as bankbooks, which frequently come in contact with local residents, Gyeonggi-do independently operates welfare organizations, public institutions, emergency welfare reporting obligations, and living industry workers. The key is to establish a tight public-private partnership network. Ordinary citizens can also participate. The provincial government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of hopeful bearers from 10,000 this year to 50,000 by 2025.

 

With the application, they will immediately participate in the report, and will be commissioned by the province to work for two years without a consecutive term limit, and online training will be provided to help with the activity.

 

The province supports livelihood, housing, medical expenses, etc. to neighbors in need, who have been reported by Hope Bodeum through the emergency welfare crisis counseling hotline, if they fall under the existing welfare system, including basic livelihood security, second-class welfare, and emergency welfare, and those who do not receive welfare system benefits Even if it does, we plan to connect privately sponsored welfare services if necessary to resolve the crisis situation.

 

Those wishing to participate can apply online at Gyeonggi Civil Service 24, by e-mail, by mail (30, Docheong-ro, Yeongtong-gu, Suwon-si, Gyeonggi-do, Welfare Business Division, Gyeonggi-do Office), or in person.

 

For other detailed inquiries, please contact the Gyeonggi-do Welfare Business Division Hope Welfare Team.

 

Gyeonggi-do Welfare Bureau Director said, “Gyeonggi-do is operating a support system to discover welfare blind spot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but public organizations alone have limitations, so th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neighbors is desperately needed.” We ask that you actively participate in the 'Gyeonggi-do Hope Bodeumi', which is reported through the counseling hotline.”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환경부 폐기물 처리사업 운영실태 우수기관 평가 전국 1위
  •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도민참여형 숙의공론조사’ 백서 발간
  • 경기도, 지방세 체납자 부동산 분양권 일제조사해 23억 원 징수
  • 경기도, 세외수입 체납자 부동산 등기권리 전수조사로 13억 5천만 원 징수
  • 경기도, 전국 최초 젠더폭력 통합대응체계 내년 상반기 가동
  • 경기도 특사경, 건설 공사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집중단속
  • 김동연, 중유럽 거점 폴란드와 교류 물꼬 텄다…돌노실롱스키에주와 우호협력 협약
  • 경기도, 34개 체납 건설법인의 공제조합 출자증권 압류
  • 용인~광주 민자도로 적격성 조사 통과. 비용 대비 편익(B/C) 1.28로 분석
  • 경기도 부동산 거짓신고 특별조사 한다
  •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올해 유해게시물 2천157건 신고
  • 경기도, 맛도 좋고 크기도 큰 3배체 개체굴 품종 시험양식 순항 중
  • 김동연, 이·통장에 “도정의 성패 달려. 도와 주민 연결 적극 역할 당부”
  • 경기도, 가택수색 20억 원 징수
  • 경기도, ‘주소정책 홍보 우수사례 공모전’ 6개 분야 중 3개 분야 우수 수상
  • 한국도자재단, 곤지암도자공원 참나무 아래 만개한 황금빛 ‘황화 코스모스’ 보러오세요!
  • 경기도, 과학관·박물관과 찾아가는 체험교실 추진…초‧중등학생 540명 지원
  • 경기도, 4종 상시 데이터 분석 서비스 구축
  • 경기도, 9월 13일 킨텍스에서 샤넬·롤렉스 등 체납자 압류동산 770여점 공매
  •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할 ‘희망 보듬이’ 1만명 모집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