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경기도 특사경, 배달 음식 전문점 불법행위 30곳 적발

이귀선기자 | 기사입력 2023/05/22 [07:05]

경기도 특사경, 배달 음식 전문점 불법행위 30곳 적발

이귀선기자 | 입력 : 2023/05/22 [07:05]

 

▲ 자료=경기도  © 이귀선기자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귀선기자] 식품 원산지를 거짓 또는 혼동 표시하거나 소비기한이 지난 식품을 보관하는 등 위법행위를 저지른 배달 음식 전문점(식품접객업소)이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에 따르면 지난 4월 24일부터 5월 4일까지 배달을 전문으로 하는 식품접객업소 180곳을 단속한 결과 원산지표시법과 식품위생법 등을 위반한 30곳(36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위반내용은 ▲원산지 거짓 또는 혼동 표시 14건 ▲소비기한 경과 제품 보관 16건 ▲식품 보존기준 위반 2건 ▲미신고 영업행위, 비위생 등 기타 4건이다.

 

주요 적발 사례를 보면 수원시 소재 A 식품접객업소는 업소 내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던 호주산 소고기(35kg)의 원산지를 미국산으로 거짓 표시해 적발됐다.

 

화성시 소재 B 식품접객업소는 소비기한이 182일 지난 냉면 다진양념 4kg을 ‘폐기용’ 또는 ‘교육용’ 표시 없이 판매 목적으로 냉장고에 보관했고, 김포시 소재 C 식품접객업소는 0~10℃로 냉장 보관해야 하는 고추냉이 8.5kg을 영하 0.4℃ 정도의 냉동고에 보관하다 적발됐다.

 

수원시 소재 D 식품접객업소는 원료 보관실, 조리장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데도, 사용하고 남은 재료들을 별다른 포장 없이 그대로 방치해 재료 표면에 성에가 끼어 있고, 주방 장갑과 식자재를 냉장고에 함께 보관하는 등 비위생적으로 관리하다 적발됐다.

 

‘원산지표시법’에 따라 식품의 원산지를 거짓 혹은 혼동 표시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식품위생법’에 따라 소비기한이 경과된 식품 또는 원재료를 ‘폐기용’ 또는 ‘교육용’ 표시 없이 조리·판매 목적으로 보관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식품 보존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식품 등을 취급하는 원료 보관실・제조가공실·조리실·포장실 등의 내부를 비위생적으로 관리하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홍은기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은 “배달 음식 전문점의 경우 객석이 없어 일반 식당에 비해 위생이 취약한 경우가 더러 있다”라며 “위생 사각지대를 발굴해 지속적으로 단속하며 불법행위 근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Lee Gwi-seon, Suwon] A large number of food delivery restaurants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at committed illegal acts such as falsely or confusedly labeling the country of origin of food or storing food past the expiration date were caught by the Gyeonggi-do Civil Livelihood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

 

According to the Gyeonggi Provincial Public Welfare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from April 24 to May 4, 180 food service establishments specializing in delivery were cracked down, and 30 places (36 cases) were caught violating the Country of Origin Labeling Act and the Food Sanitation Act. announced on the 22nd.

 

The violations are ▲ 14 cases of false or confused indication of origin ▲ 16 cases of storage of expired products ▲ 2 cases of violation of food preservation standards ▲ 4 other cases such as unreported sales practices and unsanitary conditions.

 

In a major case, a food service business in Suwon City was caught falsely indicating the country of origin of Australian beef (35 kg) stored in the refrigerator as American.

 

Food service business B in Hwaseong city stored 4 kg of minced seasoning for naengmyeon, past the expiration date of 182 days, in a refrigerator for sale without a label of 'for disposal' or 'for education', and food service business C in Gimpo city kept it refrigerated at 0-10℃. It was caught storing 8.5kg of wasabi in a freezer at minus 0.4℃.

 

Food service business D in Suwon city needs to manage the raw material storage room and the inside of the kitchen hygienically, but the leftover ingredients are left without any packaging, so the surface of the ingredients is frosted, and kitchen gloves and food ingredients are stored together in the refrigerator. were caught for unhygienic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Country of Origin’, false or confused indication of the country of origin of food is punishable by imprisonment for up to 7 years or a fine of up to 100 million won.

 

In accordance with the 'Food Sanitation Act', if food or raw materials whose expiration date has elapsed are stored for the purpose of cooking or selling without a 'disposal' or 'educational' mark, imprisonment for up to 3 years or a fine of up to 30 million won is imposed, and food preservation Failure to comply with the standards will result in imprisonment for up to five years or a fine of up to 50 million won.

 

A fine of up to 5 million won is imposed for unsanitary management of the raw material storage room, manufacturing processing room, cooking room, packing room, etc. where food is handled.

 

Hong Eun-ki, head of the Gyeonggi-do Civil Welfare Special Judicial Police, said, “In the case of restaurants specializing in delivery food, there are no seats, so hygiene is often poorer than regular restaurants.” said.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이귀선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특사경, 배달 음식 전문점 불법행위 30곳 적발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