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이귀선기자] 식용에 부적합한 알을 판매하거나, 영업신고도 하지 않고 식용란 판매 영업을 하는 등 축산물위생관리법을 위반한 식용란 유통·판매업소 32개소가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에 적발됐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4월 3일부터 14일까지 도내 식용란 선별·포장업, 식용란수집판매업, 알 가공업체 360곳을 단속한 결과 32곳(33건)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위반내용은 ▲식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분류된 알을 판매 목적으로 보관·운반·진열한 행위 3건 ▲영업 변경 허가 미이행 2건 ▲축산물판매업 미신고 3건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1건 ▲영업자 준수사항 미이행 24건이다.
주요 적발 사례를 보면 A 업소는 식용란수집판매업 영업을 하면서 식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분류된 알을 수집해 판매 목적으로 보관·운반·진열하다 적발됐다.
B 업소는 관할 관청에 영업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식용란수집판매업을 영업하다 덜미를 잡혔다.
C 식용란선별포장업소는 알 보관실에 대한 변경 허가 없이 외포장재 보관실을 알 보관실로 사용하다 적발됐다.
D 식용란수집판매업소는 식용으로 부적합한 식용란을 ‘폐기용’으로 표시된 용기에 보관해야 하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아 영업자 준수사항 미이행으로 적발됐다.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식용란선별포장업 시설을 변경하면서 변경 허가를 받지 않으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영업자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홍은기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은 “올바른 식용란 유통·판매로 도민이 안심하고 달걀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수사를 추진했다”라며 “식용란 유통·판매업자에게 경각심을 고취하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단속을 통해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Lee Gwi-seon, Suwon] Gyeonggi-do Civil Welfare Special Judicial Police Corps caught 32 egg distribution and sales businesses that violated the Livestock Products Sanitation Management Act, such as selling unsuitable eggs or selling eggs without reporting the business. done.
According to Gyeonggi-do on the 4th, the Gyeonggi-do Public Welfare Special Judicial Police Corps cracked down on 360 egg selection and packaging businesses, egg collection and sales businesses, and egg processing businesses in the province from April 3 to 14, and found 32 cases (33 cases). .
The details of the violation are ▲3 cases of storing, transporting, and displaying eggs classified as unfit for human consumption for the purpose of sale ▲2 cases of non-compliance with permission to change business ▲3 cases of non-reporting of livestock product sales ▲1 case of failure to conduct self-quality inspection ▲Failure to comply with business operator compliance 24 It's a case.
In the case of major detections, establishment A was caught collecting, transporting, and displaying eggs classified as unsuitable for eating while conducting a business of collecting and selling edible eggs.
Business B was caught while operating an edible egg collection and sales business without reporting its business to the competent authority.
C. Edible egg sorting and packaging business was caught using the outer packing material storage room as an egg storage room without permission to change the egg storage room.
A D egg collection and sales business was found to have failed to comply with business operator compliance requirements even though it was required to store eggs unsuitable for human consumption in a container marked “for disposal.”
In accordance with the 'Livestock Sanitary Control Act', if permission is not obtained while changing food egg sorting and packaging business facilities, imprisonment for up to 10 years or a fine of up to 100 million won will be imposed. A fine of not more than ten million won is imposed.
Hong Eun-gi, head of the Gyeonggi-do Civil Welfare Special Judicial Police, said, “We promoted an investigation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 citizens of the province can safely consume eggs through the proper distribution and sale of edible eggs.” We will do our best to prevent a recurrenc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이귀선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