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용인시정연구원, “플랫폼시티와 용인시 지역 연계 방안” 워크숍 개최

이귀선기자 | 기사입력 2023/03/30 [15:07]

용인시정연구원, “플랫폼시티와 용인시 지역 연계 방안” 워크숍 개최

이귀선기자 | 입력 : 2023/03/30 [15:07]

 

▲ 자료=용인시정연구원  © 이귀선 기자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용인 이귀선기자] 용인시정연구원(원장 이상대)은 ‘플랫폼시티와 용인시 지역 연계 방안’을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30일 시정연구원측에 따르면 지난 29일 미르스타디움에서 진행된 이번 워크숍은 용인시, 용인도시공사 및 학계 전문가가 모여 경기 용인 플랫폼시티 개발계획 현황을 검토하고, 플랫폼시티 개발을 고립된 섬이 아니라 주변 지역과 (함께) 동반 성장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취지를 밝혔다.

 

워크숍은 이상대 원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전문가 발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김현수 단국대 교수는 “용인플랫폼시티는 GTX 역세권, 경부고속도로 환승센터와 함께 경기남부의 반도체, MICE 산업 등 경제 거점으로서 용인행정거점과 남사·이동 및 원삼 반도체 클러스터와 연계하여 상생 발전하는 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용인도시공사의 권민석 팀장은 “110만 용인특례시의 경제자족도시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플랫폼시티에 교통·생활·첨단산업·MICE 등 융복합 기능을 구현하고, GTX 용인역 복합환승센터와 경부고속도로 환승정류장의 설계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용인시정연구원의 전병혜 박사는 “용인플랫폼시티의 개발효과를 직접영향권 및 간접영향권으로 구분하여, 구성·마북 및 언남지구는 물론, 용인시 도시 전체로 확산할 수 있도록 도시기능, 교통, 환경 측면에서 주요 거점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발표하였다.

 

이어진 전문가 토론에서는 손영태 명지대 교수는 “용인 GTX 역세권이 통과지역이 되지 않도록 광역 교통을 흡수할 수 있는 도시기능의 도입과 함께 동백지구, 역북지구 등 용인시 내부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내부 교통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용인시의 서영석 플랫폼시티과장은 “플랫폼시티의 개발 효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경찰대 부지, 남사신도시, 반도체클러스터 단지 등 용인시 내 신규 개발지역과의 교통 연계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외에도 용인시 및 용인도시공사 관계자 및 연구진은 플랫폼시티 등 용인시에 예정된 각종 대규모 개발 거점과 동서 지역 간 연계 강화, 용인시 외 판교, 동탄 역세권과의 기능 차별화를 통한 용인시 내 소비 유도, 도시개발사업의 사후 운영 관리방안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이상대 용인시정연구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신도시나 대규모 도시개발은 독립된 시가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수지, 기흥 등 주변 지역과의 연계와 기능 분담을 통해 상생 발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원은 플랫폼시티 개발 효과를 확산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도출할 것이고, 경기도시공사와 용인도시공사는 이러한 용인시 정책 방향에 협력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용인시정연구원은 2023년 전략연구 과제로 「플랫폼시티의 지역 연계를 위한 용인시 정책추진 방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워크숍에서 나온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연구에 반영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South Gyeonggi = Reporter Lee Gwi-seon, Yongin] The Yongin Municipal Research Institute (President Lee Sang-dae) held a workshop with the theme of ‘plans to connect Platform City and Yongin City’s region.

 

According to the Institute of Municipal Administration on the 30th, this workshop, which was held at Mir Stadium on the 29th, brought together experts from Yongin City, Yongin City Corporation, and academia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Yongin Platform City development plan in Gyeonggi Province, and to promote platform city development not as an isolated island but with the surrounding area. (Together) revealed the purpose of seeking a way to grow together.

 

The workshop started with a greeting from President Lee Sang-dae, followed by expert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Kim Hyun-soo, professor at Dankook University, said, “Yongin Platform City, along with the GTX station area and the Gyeongbu Expressway Transfer Center, is an economic base for the semiconductor and MICE industries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do,” he suggested.

 

Team leader Kwon Min-seok of Yongin City Corporation said, “In order to grow as an economically self-sufficient city of 1.1 million Yongin, we will implement convergence functions such as transportation, life, high-tech industry, and MICE in Platform City, and transfer to the GTX Yongin Station Complex Transfer Center and Gyeongbu Expressway. The design of the station is important.”

 

Dr. Jeon Byeong-hye of the Yongin Municipal Administration Research Institute said, “The development effect of Yongin Platform City i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spheres of influence, so that it can spread not only to the Guseong, Mabuk and Eonnam districts, but also to the entire city of Yongin in terms of urban function,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 We need to connect with the base,” he announced.

 

In the expert discussion that followed, Professor Sohn Young-tae of Myongji University sai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nal transportation system that can absorb the internal demand of Yongin City, such as Dongbaek District and Yeokbuk Distric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urban functions that can absorb wide-area traffic so that the Yongin GTX station area does not become a transit area. necessary,” he insisted. Yeong-seok Seo, Manager of Platform City, Yongin City, suggested, "In order to spread the development effect of Platform City, it is necessary to review traffic links with new development areas in Yongin, such as the police station site, Namsa New Town, and the semiconductor cluster complex." In addition, Yongin City and Yongin City Corporation officials and researchers strengthened linkages between East and West regions with various large-scale development bases scheduled for Yongin, such as Platform City, induce consumption in Yongin City through functional differentiation with Pangyo and Dongtan station areas outside of Yongin City, and follow-up operation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A variety of opinions were expressed, including management plans.

 

Lee Sang-dae, director of the Yongin Municipal Research Institute, said, “Through this seminar,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for new towns or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not to create independent urban areas, but to develop together through linkages and function sharing with surrounding areas such as Suji and Giheung. The researcher will derive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spread the effect of platform city development, and we expect Gyeonggi Urban Corporation and Yongin Urban Corporation to cooperate in the direction of these Yongin City policies.”

 

The Yongin Municipal Research Institute is carrying out 「Yongin City Policy Promotion Direction for Regional Connection of Platform City」 as a strategic research task for 2023, and plans to reflect the opinions of experts from various fields from this workshop in the research.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이귀선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Table 'breaknewsi_com.ins_news_tags' doesn't exist
select tag from ins_news_tags where o_uid='30283' and le='1' order by uid ASC limi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