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로고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최초 성벽 흔적과 조선시대 내성 확인

- 지난 8월부터 2차 시굴조사, 시굴도랑에서 고대 삼국시대 흔적 발견

이귀선기자 | 기사입력 2022/09/23 [11:55]

오산 독산성·세마대지 최초 성벽 흔적과 조선시대 내성 확인

- 지난 8월부터 2차 시굴조사, 시굴도랑에서 고대 삼국시대 흔적 발견

이귀선기자 | 입력 : 2022/09/23 [11:55]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오산 이귀선기자] 오산시 독산성·세마대지 땅속에 조선시대를 거슬러 삼국시대까지 추정되는 토성 흔적이 발견됐다.

 

23일 시에 따르면 오산시 사적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가장 높은 지대 세마대 주변에 장대지(장수의 지휘대가 있던 건물터), 봉수터, 내성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지난 8월부터 (재)중부고고학연구소(소장 김권중), 한신대학교 박물관(관장 이형원)과 공동으로 2차 시굴조사를 진행 중이다.

 

발굴조사 전 단계에 해당하는 이번 시굴조사의 한계상 땅속에 묻혀있는 시설의 상세한 전모를 파악할 수는 없었지만, 세마대지 주변에서 극히 일부 구간에서만 보였던 석축시설이 경사면 전체에 걸쳐 남아있다는 것을 여러 지점에서 확인했다. 시굴 도랑(트렌치, trench)을 독산성 지하의 깊은 지점까지 굴토하여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의 문화층도 확인한 것이다.

 

조사를 담당한 (재)중부고고학연구소 관계자는 “처음 확인된 석축시설은 대지의 붕괴나 유실을 방지하는 축대로 추정하였으나, 고고학적 층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조선시대의 내성(內城)일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내성의 시기는 층위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18세기경에 해당할 것으로 보이지만 여러 차례 고쳐 쌓은 흔적이 있어 최초의 내성벽은 그 이전일 가능성도 존재할 것”이라 했다.

 

이어“내성 하부의 문화층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기와류가 출토되는 당시 생활면을 발견하였는데, 흙을 여러겹 쌓아 올려 평평한 바닥을 만들어 생활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고려시대 문화층이 확인되어 현재 융건릉 남단에 위치한 수원고읍성(경기도기념물)이 읍치로 존재했을 당시 독산성이 배후의 방어 산성으로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도 있다. (재)중부고고학연구소의 안성현 책임조사원은 “세마대 북쪽 시굴조사 트렌치의 가장 깊은 곳에서 토축 시설이 처음 확인되었는데, 주변의 과거 지형 등 여러 고고학적 정황으로 보아 삼국시대의 토성일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며, "만약 흙으로 쌓은 토성의 성벽으로 확인될 경우 독산성의 최초 성벽으로서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으므로 향후 정밀한 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체를 규명할 것”이라 했다.

 

학술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는 한신대학교박물관에서는 “독산성의 최초 성벽으로 추정되는 토축시설, 통일신라~고려시대 문화층, 조선 정조시대로 보이는 내성이 동시에 발견됨으로써 독산성의 역사적 위상과 실체를 복원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이를 통해 최초 독산성 축조 이후 폐기되는 시점까지 긴 시간 동안의 역사를 온전히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오산시는 “1차 시굴조사 및 6차에 걸친 발굴조사에 이어 이번 2차 시굴조사에서도 중요한 시설이 발견되면서 독산성의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증명되었다”며, “오산시의 대표적 문화재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발전시켜 전 국민이 주목하는 역사·문화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 밝혔다.

 

한편, 시는 이번 조사의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알리는 시민 공개 설명회를 지난 21일 개최했다. 오산시 담당 관계자는 “앞으로도 독산성의 조사 내용과 의의를 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알리고 공유할 것이며, 많은 성원과 관심 가져주시길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Osan Reporter Lee Gwi-seon] Traces of Saturn, presumed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found in the soil of Doksan Fortress and Sema Plateau in Osan City.

 

According to the city on the 23rd, permission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as obtained to check the existence of a pole site (the site of a building where a commander's podium was located), a beacon site, and a fortress, near Semadae, the highest site of the Osan historic site 'Osan Doksanseong Fortress and Semadaeji'. Since August, the second prospective survey is being conducted jointly with the Jungbu Archaeological Research Institute (Director Kwon-Jung Kim) and the Hanshin University Museum (Director Hyung-Won Le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is excavation investigation, which is the pre-excavation stage,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the full details of the facilities buried in the ground, but it was confirmed at several points that the stonework facilities, which were only seen in very few sections around the Sema site, remain throughout the slope. did. By excavating a trench to a deep point beneath Doksanseong Fortress, the cultural lay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Unified Silla and Goryeo eras were confirmed as well as the Joseon Dynasty.

 

An official from the Jungbu Archaeological Research Institute in charge of the investigation said, “The first confirmed stone construction facility was assumed to be an axis to prevent the collapse or loss of the site, but as a result of an archaeological layer analysis, it is possible that it was a fortress from the Joseon Dynasty. He said, “The period of the inner fortress seems to be around the 18th century, considering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layers, but there are traces of it being rebuilt several times, so it is possible that the first inner wall was earlier.”

 

He continued, “In the cultural layer at the bottom of the inner fortress, we found a living aspect at the time when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the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It seems that when Suwon Goeupseong (Gyeonggi Provincial Monument), located at the southern end of Yonggeonneung, existed as an eupchi, Doksanseong Fortress was operated as a defensive fortress behind it,” he added.

 

There are also some new facts that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Ahn Seong-hyeon, chief investigator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Research Institute, said, “The earthwork facility was first identified in the deepest part of the North Semadae trench,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is likely to be Satur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the surrounding historical topography and other archaeological circumstance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alls of Saturn are built with soil, it has very important academic value as the first fortress wall of Doksanseong, so we will investigate the reality through detailed excavation in the future."

 

In the Hanshin University Museum, which conducts academic research and research, “the earthwork facility presumed to be the first fortress wall of Doksanseong, the cultural layer from the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and the intress that appears to be from the Joseon Dynasty era were discovered at the same time. It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material,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fully restore the history of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time of the first Doksanseong construction to the point of its destruction.”

 

The city of Osan said, “After the first and sixth excavations, important facilities were discovered during the second excavation, proving th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of Doksanseong.” We will further develop the historical value of the city and make it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that the entire nation pays attention to.”

 

Meanwhile, the city held a public briefing session on the 21st to publicly inform the citizens of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n official in charge of Osan City said, "We will continue to actively inform and share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e Doksanseong investigation with citizens, and ask for your support and interes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오산세교3 공공주택지구 및 인근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 오산시, 착한가격업소 신규 모집
  • 오산시 지방세 고액체납자 관세청 체납처분 위탁
  • 오산시 2023년 제2회 오산시 아동위원협의회 회의 개최
  • 오산시 ‘오산에서 안전사고는 제로’중대재해 담당자 실무교육 실시
  • 오산시 전국 최고 안전 도시 구축 위해 지역치안협의회 개최
  • 오산시 노인의 날 기념 100세 장수 어르신에‘청려장’전달
  • 오산시 2023년 하반기 오산시 지역건축사 간담회 개최
  • 오산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오산시 2023년도 국민행복민원실 첫 선정!
  • 오산시 스미스 평화관,‘Project Soldier’특별 기획 전시
  • 오산시 청년 취업·창업 탐색 위한 청년 진로 Jump Up! 교육
  • 오산시 승강기 사고대응 합동훈련 실시
  • 오산시 주민 편익 증진 위한 민원제도 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선정
  • 오산시 제27회 노인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이권재 시장, 행안부에 특교세 37억 교부 건의
  • 오산시 평생교육 관계자 워크숍 개최
  • 오산시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차량 사후관리 합동점검
  • 오산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어린이 식생활안전 뮤지컬 공연 개최
  • 오산시 건축민원 민관자문단, 궐동 구도심 방치 건축물 안전점검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