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경기도,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숏폼 콘텐츠 창업지원 – 창작발전소’ 참가자 모집

김정은기자 | 기사입력 2022/05/05 [09:43]

경기도,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숏폼 콘텐츠 창업지원 – 창작발전소’ 참가자 모집

김정은기자 | 입력 : 2022/05/05 [09:43]

 

▲ 경기도청     ©김정은기자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김정은기자] 경기도가 10분 내외 짧은 영상으로 이용자의 눈길을 끄는 ‘숏폼’ 콘텐츠 육성을 위해 마케팅 분야 창업 예정자에 제작·마케팅비를 최대 2천만 원 지원한다.

 

경기도는 5월 23일까지 ‘2022년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숏폼 콘텐츠 사업화 창업지원 – 창작발전소’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디지털 기반 창작자의 창작·창업·사업화 지원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창작발전소)에서 주관하는 것으로, 자체 제작한 영상이 5개 이상 게시된 채널을 보유한 창작자(창업 예정)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지원자는 숏폼 영상 제작·마케팅 3개 부문 중 하나(1~2분 내외, 5분 내외, 10분 내외)를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 또한 ▲경기도 전통주(경기도농업기술원 협력) ▲지역 소상공 특화 상권․거리(경기관광공사 협력) ▲개성공단 및 공정무역, 사회적기업 재화․서비스(경기도주식회사 협력) 등 3개 소재 관련 영상 제작․마케팅 사업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참가 신청서는 e나라도움시스템을 통해 접수(사업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누리집 내 사업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 또는 전자우편으로 문의하면 된다.

 

도는 총 11팀의 창작팀을 선발해 팀당 2천만 원의 숏폼 콘텐츠 제작·마케팅 지원금(총 2억 2천만 원)을 지원하면서 숏폼 콘텐츠 전문가 특강과 문화 콘텐츠 분야 전문 멘토링도 제공한다. 선발된 11팀은 오는 10월까지 사전 선정된 소재를 활용해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고 홍보해야 한다. 창작발전소를 통해 제작된 숏폼 콘텐츠는 기업 및 상권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공개돼 마케팅 활용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창작발전소 사업을 통해 역량 있는 콘텐츠 창작자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경기도의 우수한 기업 상품과 상권을 널리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Reporter Kim Jong-un, Suwon] Gyeonggi Province will provide up to 20 million won in production and marketing expenses to prospective start-ups in the marketing field to foster ‘short-form’ content that catches users’ attention with short videos of about 10 minutes.

 

Gyeonggi Province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will recruit participants for the ‘2022 Gyeonggi Content Korea Lab Short Form Content Commercialization Startup Support – Creative Power Plant’ by May 23rd.

 

This project is supervised by Gyeonggi Contents Korea Lab (Creative Power Plant), which operat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creation, start-up, and commercialization of digital-based creators. Anyone can apply.

 

Applicants can apply by selecting one of the three short form video production and marketing categories (1 to 2 minutes, 5 minutes, or 10 minutes). Also, ▲Gyeonggi traditional liquor (cooperated with Gyeonggi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local small business specializing in commercial districts and streets (with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G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Fair Trade, social enterprise goods and services (cooperated with Gyeonggi Province Co., Ltd.) A business plan must be submitted.

 

Applications for participation can be submitted (project application) through the e-Nara help system.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through the business announcement on the Gyeonggi Contents Korea Lab website, and inquiries can be made by phone or e-mail.

 

The province selects a total of 11 creative teams and provides 20 million won in short form content production and marketing subsidies (total 220 million won) per team, as well as special lectures by short form content experts and professional mentoring in the cultural content field. The 11 selected teams must produce and promote short-form content using pre-selected materials by October. Short-form contents produced through the Creative Power Plant are released through online channels of companies and commercial areas and used for marketing.

 

An official from Gyeonggi-do said, "We expect to discover competent content creators through the Creative Power Plant project, and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publicize Gyeonggi-do's excellent corporate products and commercial areas."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김정은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기도, 19일 안산서 ‘정신건강의 날 기념행사’ 개최
  • 경기도 ‘2023년 농지이용실태조사’...농지법 위반행위 집중단속
  • 경기도, 공공건축물 에너지 사용실태 전수 조사한다
  • 경기도남북부자치경찰 전국 최초 전용차량 운영, 현장중심 치안활동 강화
  • 화성 태안3지구 1단계 구간 5월 중 준공. 경기도 추진 20년 만에
  • 경기도, ‘위생용품 안전지킴이’ 활동. 안전성 검사 수행
  • 경기도, 3기 신도시 등 공공주택지구 원주민 생계지원대책 연구 착수
  • 경기행심위 “계약자가 요청했더라도 부동산 이중계약서 작성은 위법”
  • 경기도, 부동산소유권 이전등기 특별조치 기간 동안 668필지 소유자 이전 등기 마쳐
  • 경기도, 도시계획 단계부터 대규모점포 입지 제한하는 표준조례개정안 마련
  • 경기행심위, “이혼조정 재산분할은 ‘계약’으로 볼 수 없어… 부동산 미등기 과징금 부과는 위법”
  • 경기도, ‘법인 세무조사 시·군 평가’ 최우수 기관에 수원·의정부·여주시 선정
  • 경기도, 다문화·저소득 아동 등 정보 취약계층에 독서활동 지원 사업 운영
  • 경기도, 중기부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단독 유치
  • 경기도,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숏폼 콘텐츠 창업지원 – 창작발전소’ 참가자 모집
  • 경기도, 지방세 탈루 및 체납자 은닉재산 신고하면 포상금 최대 1억 원 지급
  • 세계적 반도체장비 제조기업 램리서치 연구개발센터, 용인에 문 열어
  • 경기도 통합 마이데이터 서비스 ‘경기똑D’ 27일 정식 출시
  •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 “시정권고 없는 시정명령은 절차 위반”
  • 경기도 시군의원·공공기관장 평균재산 12억125만 원…전년대비 1억2,475만 원 증가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