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김정은기자] 경기도가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행정서비스인 ‘경기똑D’를 27일 정식 개시한다. 개인맞춤형 정보 알림에 도민카드와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해 행정서비스 혁신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똑D’는 도민 참여 공모를 기반으로 내외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한 이름으로, 도민이 원하는 맞춤형 정보를 스마트하게 제공하는 ‘똑똑한 데이터 서비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경기똑D에서는 ▲도민을 위한 복지정보와 공개채용정보 등 ‘맞춤수혜정보 서비스’ ▲공공마이데이터 기반의 본인 확인서비스인 ‘도민카드’ ▲다양한 전자증명서를 휴대폰에서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인에게 꼭 맞는 혜택정보만을 제공하는 맞춤정보 서비스는 정부와 도, 시군,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1,300여 개의 혜택정보를 개개인의 조건에 맞게 선별해 신청 시기가 되면 알림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만 24세가 되면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정보를 알려주고, 시군을 옮겨 이사하면 해당 시군에서 받을 수 있는 복지정보를 안내한다. 알림 서비스에서는 단순 알림뿐 아니라 신청 방법과 필요서류, 신청할 수 있는 사이트 등을 상세하게 제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준다.
도민카드는 문자 본인인증만으로도 본인확인이 가능해 공공시설 입장 시 별도의 증빙서류 없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방문 때마다 주민등록등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 등 각종 증빙서류를 준비하고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편리하게 입장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도와준다.
올해 상반기에는 ▲화성행궁 ▲광교호수공원캠핑장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용인자연휴양림 ▲용인농촌테마파크 ▲경기도잣향기푸른숲 ▲경기도자박물관 등 수원과 용인의 8개 시설물에서 시범운영하고 하반기에는 다른 시군으로 확대해 더 많은 도민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전자지갑 서비스에서는 주민등록등초본 등 정부에서 제공하는 66종의 증명서를 언제 어디서든 모바일에서 간편하게 발급받고 보관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정부의 증명서 발급 대상 확대에 따라 발급 가능한 증명서의 종류는 계속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똑D는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경기똑D’나 ‘경기똑디’를 검색한 후 내려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로그인이 필요 없이 본인인증만 거치면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도민들은 행정에서도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며 “도민과 소통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에 기반해 맞춤형 도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경기똑D’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오는 8월 공공마이데이터 기반의 생활리포트를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리포트’ 서비스를 시작하고, 11월에는 마이데이터를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곳에 저장하고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도 시험할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Correspondent Kim Jong-un] Gyeonggi Province will officially launch ‘Gyeonggi Dok D’, a customized administrative service using public My Data, on the 27th. It plans to try to innovate administrative services by providing Domin card and electronic wallet service for personalized information notification.
‘Gyeonggidok D’ is a name select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 screening based on a public contest for citizen participation, and it has the meaning of ‘smart data service’ that provides customized information smartly desired by residents.
In Gyeonggi Ddok D, ▲ 'customized benefit information service' such as welfare information an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for residents ▲ 'Domin Card', an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 based on public my data ▲ 'electronic wallet' that can store and use various electronic certificates in mobile phones ' to provide services.
The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which provides only benefit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individuals, selects about 1,300 benefi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individual conditions and provides notifications when it is time to apply.
For example, when you turn 24, you will be informed of the application information for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do, and if you move from one city to another, it will inform you of the welfare information you can receive from the city or county. The notification service not only provides a simple notification, but also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how to apply, required documents, and the site where you can apply, helping you not to miss out on the benefits you can receive.
With the Domin Card, you can verify your identity with just text authentication, so you can get a discount when entering public facilities without additional documentation. It help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various supporting documents such as a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 or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 for each visit, and to receive a discount on admission conveniently.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Hwaseong Haenggung ▲Gwanggyo Lake Park Camping Site ▲Suwon I’Park Museum ▲Yongin Natural Recreation Forest ▲Yongin Rural Theme Park ▲Gyeonggi Jathyanggi Green Forest ▲Gyeonggi Ceramics Museum We plan to expand it to cities and counties so that more residents can use it conveniently.
In the electronic wallet service, 66 types of certificat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can be easily issued and stored on mobile anytime, anywhere, so it is expected to be conveniently used in daily life. In the future, as the government expands the subject of certificate issuance, the types of certificates that can be issued will continue to expand.
Gyeonggi Tok D can be downloaded after searching for 'Gyeonggi Tok D' or 'Gyeonggi Tok D' in the Google Play Store or Apple App Store. there is.
Gyeonggi Future Growth Policy Office said,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after Corona, residents are also wanting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ervices in the administration. We will continue to develop 'Dok D'," he said.
Meanwhile,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start the ‘My Data Report’ service, which provides public My Data-based daily life reports, in August, and will also test the ‘My Data Platform Service’ in November, which allows users to store and directly utilize My Data where they want. plan to do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김정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