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김정은기자] 경기도 시·군 의원과 산하 공공기관장의 평균재산이 12억125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2,475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따라 경기도 소속 재산공개대상자인 시·군 의원과 공직유관단체장 451명에 대한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31일 경기도보를 통해 공개했다.
신고내역은 20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의 재산 변동사항이다.
공개대상자 451명의 1인당 평균재산은 12억125만 원으로, 이는 전년도 평균 10억7,650만 원보다 1억2,475만 원 증가한 수준이다.
재산이 증가한 344명(76.3%)은 평균 2억2,290만 원이 늘었고 재산이 감소한 107명(23.7%)은 평균 1억9,145만 원이 줄었다. 신고자들은 주요 증가 사유로 공시지가 상승과 채무 감소 등을 들었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재산공개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말 까지(공개 후 3개월 이내)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심사에서는 공직윤리에 대해 한층 높아진 국민의 기대 수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소득 대비 재산이 과다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 등에 대해 재산 취득경위와 자금 출처, 사용 용도 등 재산형성과정 심사를 강화한다.
특히, 직무와 관련해 부정한 재산증식 혐의가 있거나 다른 법의 위반 사실 등이 있는지 여부도 적극 심사해 해당 사실이 발견될 경우 관계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도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공직사회 구현과 청렴한 공직문화 정착을 위해 재산등록·심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재산공개 공직자 중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1급 이상 고위공무원, 도의원, 시장·군수 등 178명은 정부 관보에서,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직유관단체 임원과 시군의원 등 451명은 경기도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Reporter Kim Jeong-eun] The average wealth of city and county legislators and the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in Gyeonggi-do was 1.2.25 billion won, an increase of 124.75 million won from last year.
According to Article 10 of the ‘Public Ethics Act’, Gyeonggi Provincial Public Service Ethics Committee disclosed the details of periodic property changes reported to 451 city and county lawmakers and heads of public service-related organizations in Gyeonggi-do through the Gyeonggi Provincial News on the 31st.
As of December 31, 2021, the details of the report are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the public official, his or her spouse, parents, and other lineal ascendants and descendants.
The average wealth per person of 451 people subject to disclosure was 1.2.25 billion won, which is an increase of 124.75 million won from the average of 1.076.5 billion won in the previous year.
344 people (76.3%) with increased wealth increased an average of 222.9 million won, and 107 people (23.7%) with decreased wealth decreased an average of 191.4 million won. Reporters cited an increase in the official land price and a decrease in debt as the main reasons for the increase.
The Gyeonggi-do Public Service Ethics Committee plans to finalize the review of the property disclosure by the end of June (within 3 months after disclosure).
In this review, in order to meet the higher expectations of the public regarding public service ethics, the review of the property formation process, such a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property, the source of the funds, and the purpose of use, will be strengthened in cases where the amount of property relative to income has increased or decreased excessively.
In particular, we plan to actively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uspicions of illegal property propagation or violations of other laws related to duties, and if such facts are found, we plan to notify the relevant authorities.
An official from the Gyeonggi Public Service Ethics Committee said, “We will continue to strictly operate the property registration and examination system to realize a public office society trusted by the local people and establish an honest public service culture.”
Meanwhile, among public officials in Gyeonggi-do property disclosure, 178 high-ranking civil servants, provincial legislators, and mayor/gun head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 Ethics Committee, are to be confirmed in the Government Gazette, and 451 including executives and city and county members of public service-related organiz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Gyeonggi-do Public Service Ethics Committee are to be confirm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ca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 김정은
|
많이 본 기사
|